경기도가 코로나19 대응 경험을 토대로 역학조사관 확충, 말라리아 경보체계 도입, 감염 취약 시설 종사자 대상 예방접종 지원 등 감염병 상시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먼저 역학조사관을 6명에서 9명으로 증원해 감염병 연구, 발생 감시, 유행 차단 등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 또 시군 역할조사관을 0명에서 100명으로 확충했다. 이로써 도내 역학조사관은 총 109명으로 늘었다.
경기도는 전염력과 치명률이 높아 1급 감염병으로 분류된 에볼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과 관련해서 신종 감염병의 신고부터 보고, 병상 확보까지 전 과정을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상시·비상 대응 체계도 마련했다. 특히 1급 감염병 발생 시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전담 인력과 비상 연락망을 지정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또 말라리아 퇴치사업과 결핵 관리사업 등의 예방을 강화하고, 올해 파주·김포·고양 등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에 인력과 예산을 집중 투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7년 인구 10만명당 결핵환자 발생을 20명 이하로 낮추기 위해 취약층 검진, 비순응 결핵환자 복약 지원, 외국인 환자 관리 등 대상별 지원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경기도는 올해 65세 이상 노인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요양병원 등 감염 취약 시설 종사자 대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지원한다. 이는 지역사회 돌봄서비스를 지속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원 등 도내 19개 시군에 소재한 3944개 시설 종사자 총 5만1702명이다. 사업 예산은 총 9억3000만원이다.
지금 뜨는 뉴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코로나19를 계기로 감염병 대응은 단순한 행정 영역을 넘어, 고도의 전문성과 지속 가능한 체계가 요구되는 국가적 과제임을 다시금 확인했다"며 "민선 8기 경기도는 감염병 대응 조직을 정비하고 역량을 축적해 온 기반 위에서 이제는 실제 현장에서 작동하는 실질적인 대응체계를 본격적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