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2024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 발간
성홍열·수두·CRE 증가하고 유행성이하선염·결핵은 감소
지난해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백일해 등 호흡기 감염병과 성홍열, 수두 등이 증가하면서 코로나19를 제외한 전체 감염병 발생이 전년 대비 5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질병관리청이 발간한 '2024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수감시 법정감염병(제1급~3급) 신고환자 수는 총 17만1376명(인구 10만명당 334명)으로, 2023년 562만6627명(10만명당 1만951명)과 비교해 크게 감소했다. 2023년 8월 코로나19의 감염병 급수가 2급에서 4급으로 전환되면서 통계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코로나19와 2024년부터 4급에서 3급으로 바뀐 매독(2790명)을 제외하면, 2024년 감염병 신고환자 수는 총 16만8586명(인구 10만명당 329명)으로 전년(10만9087명) 대비 54.5%(5만9499명) 증가했다.
감염병 급별로 살펴보면 제1급 감염병(17종)으로는 2023년 보툴리눔독소증이 1건 발생했으나 2024년엔 신고 건이 없었다.
제2급 감염병(21종)은 총 15만2586명이 신고돼 전년 대비 64.7%(5만9936명) 증가했다. 2023년 292명에 그쳤던 백일해가 작년엔 4만8048명으로 급증했고, 그 외 성홍열(6642명), 수두(3만1892명),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목(CRE) 감염증(4만2347명) 등도 많이 발생해 이들 4개 감염병이 제2급 감염병 전체 신고건 중 84.5%를 차지했다. 이들 백일해, 성홍열과 같은 호흡기 전파 감염병은 미취학 영유아 및 학령기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 2급 감염병 중 유행성이하선염, 결핵, A형간염 등은 감소했다. 결핵은 2011년 신규 환자 수가 3만9557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연평균 7.5%씩 줄어 지난해에도 전년 대비 7.9%(1228명) 감소했지만, 전체 신환자(1만4412명) 중 노인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24년 58.9%(8491명)를 차지했다.
제3급 감염병(28종)은 총 1만8790명으로 전년 대비 14.3%(2354명) 증가했으나 2024년 4급에서 3급으로 전환된 매독(2790명)을 제외하면 2.7%(436명) 감소했다. 주요 감염병 중에서는 쯔쯔가무시증이 6268명 신고돼 전년 대비 10.7%(605명) 증가한 반면 C형간염은 2020년을 정점(1만1850명)으로 꾸준히 감소해 2024년에도 전년 대비 11.1% 감소한 6444명이 신고됐다.
한편, 해외에서 유입된 감염병은 2010년 이후 매년 400∼700명 내외로 신고됐으나 코로나19 유행 기간엔 크게 증가하는 추세(2022년 5만6037명)를 보이다가 2023년 7122명, 2024년 606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 결핵을 제외한 법정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2024년 총 1238명으로 전년(1047명) 대비 18.2%(191명) 증가했다.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주요 감염병은 CRE 감염증(838명), 후천성면역결핍증(158명), 폐렴구균 감염증(87명) 등이었다.
질병청은 새로운 감염병 위기 상황에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개편, 지난해 1월 '방역통합정보시스템'으로 새롭게 개통하고 감염병 환자가 발생할 때마다 의료기관, 보건소, 시·도 등에서 이 시스템을 활용해 신고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 또 수집된 감염병 신고 정보는 감염병대시보드, 감염병통계, 주간발생동향 등으로 '감염병포털'에 공개한다.
지금 뜨는 뉴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의료기관 등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는 감염병 신고는 감염병 확산을 조기에 인지하고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감염병 감시체계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