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달러-미 국채 금리, 상관관계 무너졌다

시계아이콘01분 5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트럼프 정책 변덕·통화정책 독립성 훼손
미 자산 선호 약화
미국채 금리-달러 상관관계
3년 새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져

미 국채 금리와 달러 가치 간의 밀접한 상관관계가 최근 들어 약화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정책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로 미국 자산에 대한 선호가 약화하면서다.


달러-미 국채 금리, 상관관계 무너졌다
AD

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초 이른바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상호 관세를 발표한 이후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4.16%에서 4.24%로 상승한 반면, 달러 가치는 주요 통화 대비 4.7% 하락했다. 이달 들어 미 국채 금리와 달러 간 상관관계는 최근 3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최근까지 일정한 방향으로 함께 움직이던 달러 가치와 미 국채 금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얘기다. 일반적으로 미국 국채금리가 오르고 미국 자산의 수익률이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미국 자산을 사들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달러에 대한 수요도 함께 늘어나면서 달러 강세로 이어지게 되는데 최근에는 이런 관계가 무너졌다.


샤하브 잘리누스 UBS G10 외환전략 책임자는 "만약 미국채 금리 상승이 재정 우려와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국 국채의 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라면, 동시에 달러 약세가 나타날 수 있다"며 "이는 신흥국 시장에서 더 자주 관찰되는 패턴"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안 때문이다. FT는 트럼프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과 최근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조치는 투자자들이 미국의 재정 적자 지속 가능성에 대해 다시금 주목하게 만들며 채권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통상 채권 시장에서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즉, 채권 가격이 하락하면 금리(수익률)는 상승하고, 반대로 가격이 오르면 금리는 하락한다.


여기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을 공격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다. 그는 이번 주 파월 의장을 백악관으로 불러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는 것이 실수라고 공격했다.


마이클 드 패스 시타델증권 글로벌 금리 책임자는 "달러의 강세는 제도적 신뢰에서 비롯된다. 법치주의, 중앙은행의 독립성, 예측 가능한 정책 등이 달러를 기축통화로 만드는 핵심"이라면서 "하지만 지난 3개월은 이 제도적 신뢰를 의심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시장의 가장 큰 우려는 달러의 제도적 신뢰가 조금씩 무너지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국채 금리와 달러의 흐름이 엇갈리고 있는 현상은 최근 수년간 이어져 온 추세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은 통화정책 방향과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미국 정부의 차입 비용(국채 금리)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었다. 하지만 최근 달러와 다른 자산 간의 움직임이 바뀌면서, 이를 포트폴리오의 '안전장치'로 삼아온 투자자들 사이에 혼란이 커지고 있다.


안드레아스 쾨니히 아문디 글로벌 외환 총괄은 "이 변화는 모든 것을 바꿔놓는다"며 "최근 몇 년간 달러를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것은 위험을 분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지만, 이제 달러가 다른 자산들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오히려 위험이 커진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 Fed의 독립성 훼손 우려와 재정 지속 가능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자산 간 움직임의 패턴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달러 약세가 미국채 이자 상승, 주가 하락과 동시에 나타나는 최근 현상은 일반적인 포트폴리오에서 자주 사용되는 '헤지(위험 회피)' 전략이 더는 효과적이지 않다는 점을 드러낸다는 지적이다.


달러 약세의 배경 중 하나로 달러 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불확실성에 대비해 적극적으로 헤지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고 FT는 전했다. 달러를 '공매도(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달러 가치가 추가로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샤하브 잘리누스 외환책임자는 "정책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투자자들은 더 많이 헤지하려 할 것"이라며 이는 달러 매도 압력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AD

골드만삭스는 달러 약세에 대비해 유로, 엔화, 스위스프랑 등 최근 강세를 보이는 통화에 대한 포지션을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아울러 이러한 새로운 위험 요소는 금에 대한 자산 배분을 정당화하는 강력한 근거가 된다고 덧붙였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2306:50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006:40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편집자주편집자주 = 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 25.06.1906:52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806:50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706:50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SV인베스트먼트를 시작

  • 25.06.2407:00
    전문가 한목소리 "인사청문제도 이제는 바꿔야"
    전문가 한목소리 "인사청문제도 이제는 바꿔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307:00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 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 25.06.2007:00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1907:00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인사청문회 무용론이 수년째 반복되고 있지만 국회 차원에서의 개선 논의는 미미하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운영된 지난 25년 동안 200건이 넘는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통과된 것은 단 8건에 불과하다. 야당일 때는 인사청문회 제도 강화를 외치다가도, 여당이 되면 소극적으로 변하는 한국 정치 지형 탓이다. 검증보다는 흠집 내기에 치중하는 인사청문회가 지속되는 이유다. 19일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00년 6월 인사청문회법이

  • 25.06.1907:00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308:55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지난 19일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했다. 3선 의원으로 '경제통'인 이 의원은 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 의원은 "지금 한국 경제는 추락 직전 낭떠러지에 있는 것과 같다"고 진단하며 "주력 산업을 빠르게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함부로 증세해서는 안 된다"면서 "민생회복지원금을 빨리 집행해야 한다. 물가 상승을 걱정할 때가 아니다

  • 25.06.2208:00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북한이 러시아에 6000명 규모의 공병 부대를 추가로 파견하기로 하면서 동북아 정세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다. 이미 1만4000여명의 전투 부대를 파병한 상황에서 추가 파병이 이뤄지면 총 2만명 이상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된다. 국제사회가 대북제재 위반이라며 목소리를 높이는 가운데, 중국도 상당히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 파견되는 북한 공병 부대는 전투보다는 점령지 방어에 집중할

  • 25.06.2109:00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이 이란을 대상으로 한 군사작전에 '라이징 라이언(Rising Lion·일어서는 사자)'이라는 작전명을 붙이면서 그 배경과 의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작전명은 구약성경 민수기 23장 24절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구절은 "백성이 암사자 수사자 같이 일어나서 잡힌 것을 먹고 죽은 것의 피를 마시기 전에는 눕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자는 고대부터 이스라엘 왕국의 상징이었으며, 이번 작전명

  • 25.06.1506:00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관계가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취임 초기 '브로맨스'로 불릴 정도로 가까웠던 두 사람은 극심한 갈등을 거쳐 최근 다시 화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들의 관계 변화는 단순한 개인적 불화를 넘어 미국 정치와 산업계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는 2024년 대선 당시 절정에 달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을 전적으로 지원하며 선거 승리에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