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만에 코디네이터 중재로 공사비 합의
1976억원 규모의 중재안 의결
서울 서남권 노른자위 땅으로 평가받는 노량진6구역 재개발 사업이 공사비 증액으로 인한 갈등 6개월 만에 합의에 도달했다.
서울시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 노량진6구역 재정비촉진구역 조합과 시공사인 GS건설·SK에코플랜트가 공사비 증액 조정에 합의해 착공 지연 문제가 해소됐다고 2일 밝혔다.
노량진6구역 재개발 사업은 시공사가 설계 변경·연면적 증가 등에 922억원, 물가 인상과 금융 비용 1272억원 등 총 2194억원 증액을 요구하면서 착공이 지연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 조정 및 중재 회의를 개최했고 결국 합의에 성공했다. 공사비 분쟁으로 인한 착공 지연 문제를 해소한 첫 번째 사례다. 이번 조정 과정에선 마감재 변경과 특화 부분에 대한 추가 증액 요청 219억원까지 포함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시는 최초 증액 요청액 2194억원과 추가 요청액을 모두 검토해 1976억원 규모의 중재안을 제시했다. 이후 지난 4월29일 조합과 시공사 간 협력과 양보로 최종 합의안이 마련됐고 같은 달 31일 시공사 도급 계약 변경안이 의결됐다.
2012년부터 진행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정비 사업이 지체되거나 갈등을 겪고 있는 현장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도시 정비 등 관련 분야 전문가나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을 파견하는 제도다.
시는 올해 노량진6구역을 포함해 대조1구역, 신반포4지구 등 3개 구역에서 공사비 분쟁 합의를 이뤄냈다. 현재 노량진8구역, 월계동 487-17 등 5개 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분쟁 조정 및 중재를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입주 제한 우편물을 조합원에게 발송한 행당7구역에도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착공 지연에 따른 피해는 결국 시민이 보게 되는 만큼 시가 갈등 해결에 적극 나서 합의에 이르게 됐다"며 "앞으로도 사업 지연, 조합원 부담을 크게 만드는 정비사업 공사비 갈등을 예방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