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동네 사진관의 추억
특별한 순간 기록에서 일상의 순간 기록으로
기념품, 기억이 가치 공유
사진과 기념품의 공통점은 '기록'을 남긴다는 것이다. 오래 간직하고 싶은 순간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여행지에서의 잊지 못할 추억을 기념품을 통해 회상한다. 사진과 기념품을 주제로 한 전시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개막했다.

'사진관 전성시대' 전시는 국내 사진의 역사를 조명한다. 국내 사진관이 들어선 건 1880년 초 일본인 사진사들이 등장하면서부터다. 1907년 천연당 사진관을 시작으로 한국인이 운영하는 사진관이 늘어났고, 황실과 소수 계층을 중심으로 널리 퍼져나갔다.
초기 사진 촬영은 영혼을 뺏긴다는 속설로 꺼려지기도 했으나. 개방의 물꼬가 터지면서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는 상징적 의미로 여겨졌다. 1910년 황성기독교청년회 학교에는 사진과가 존재했고, 당시 학생들은 사진을 찍은 날짜와 이유, 등장인물의 이름이 적힌 액자를 들고 사진을 찍기도 했다. 기록으로서의 의미가 컸다.
일제강점기 당시 일제가 독립운동가들을 감시·통제하기 위해 사진을 이용하면서 사진은 신분을 증명하는 도구로 자리매김했다. 6·25전쟁 직후에는 도민증 제도가 시행되면서 사진값이 비싸서 선뜻 찍지 못했던 사람들도 의무적으로 사진을 찍게 됐다. 증명 사진을 10분 만에 만들어주는 거리 속성 사진관인 궤짝사진관도 등장했다. 사진관 호황기는 그렇게 시작됐다. 휴일에는 지역 사진협회에서 일을 하지 못하도록 사진관의 카메라 렌즈를 수거해 가면, 숨겨둔 렌즈로 촬영할 정도로 손님이 몰려들었다고 한다.
다만 디지털카메라가 보급되면서 사진업 종사자 수는 1995년 1만3332명에서 2013년 2197명으로 급감했다. 다만 무인 즉석 사진관이 늘면서 사진관 수는 2017년 1만3002곳에서 2024년 2만1012곳으로 증가했다. '특별한 순간의 기록'에서 '일상의 기록'으로 사진 양상의 변화가 엿보인다.
'사진관 전성시대' 전시에는 사진사들의 이야기와 물건, 백일·돌·졸업·결혼·회갑 등 일생의 특별한 순간을 찍은 사진 등 200여점의 전시물을 선보인다. 전시는 7월27일까지.
기념품이 주는 기억의 가치
기념품은 오래 간직하고 싶은 기억을 구체화하고 삶의 이야기를 이어가는 물리적 증거다. '오늘도, 기념: 우리가 기념품을 간직하는 이유' 전시는 개인 생애주기에 따라 출산부터 죽음까지 삶의 이정표를 기념한 물건들을 소개한다. 특별한 순간이 어떻게 시대와 시대의 가치와 맞닿았는지 살피는 재미를 선사한다.
5년 사이 제작된 세 장의 달력(1945, 1946, 1949년 달력) 속 기념일을 통해서는 시대적 상황마다 달리 기념되는 현상을 조명하고, 이를 통해 과거를 기억하는 일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이야기라는 교훈을 전한다.
지금 뜨는 뉴스
이번 전시를 통해 다수 소장품이 처음 공개된다. 대한제국의 대표적인 친러파 관료 이용익의 초상화와 초상화 속 실제 훈장과 기념장을 선보인다. 고종황제 성수 50주년 기념장도 첫선을 보인다. 아울러 헌법 공포 기념사진 역시 최초로 공개된다. 사진 아래 인물 형상 속에 인물 이름을 적어 넣은 것이 특징이다. 전시는 9월14일까지.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