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서비스업 생산도 0.2%↑
소매판매액 55조6000억원…2.8%↑
올해 3월 중소제조업 생산이 반도체 생산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서비스업 생산도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소폭 늘었다.
27일 중소벤처기업연구원(중기연)은 'KOSI 중소기업 동향 5월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지난 3월 중소제조업 생산은 조업일수 감소(-0.5일)와 전국적 동시 산불사고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생산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0.3% 증가했다. 중소서비스업 생산(+0.2%)도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소매판매액은 55조6000억원으로 2.8% 증가했다. 내구재(3.9%), 준내구재(1.1%), 비내구재(2.9%) 모두 증가했는데, 특히 승용차와 의약품 등의 상품에서 증가 폭이 컸다.
4월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2556만 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만4000명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1~4인 업체의 취업자 수가 7만3000명 감소했고, 5~299인 업체는 10만7000명 증가했다. 다만, 제조업과 건설업 부진으로 해당 업종의 경우 고용이 감소세를 지속했다. 중소기업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12만1000명)와 임시근로자(+5만8000명)는 증가했고, 일용근로자(-6만3000명)는 감소하는 추세를 그렸다.
3월 창업기업 수는 10만640개로 전년 동월 대비 4.7%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5.2%), 서비스업(-4.7%), 건설업(-5.0%) 등 주요 업종 전반에서 창업이 감소했다. 다만, 기술 기반 업종 창업기업 수는 지식기반서비스업(+2.6%)이 증가하며 1.3% 증가한 1만9247개를 기록했다.
지금 뜨는 뉴스
중기연 관계자는 "중소기업 생산, 고용 등 주요 경기지표가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에 그치며 아직은 경기 회복이 더딘 가운데 창업이 전년과 비교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더욱이 통상환경 악화로 인해 중소기업 경기지표 하방 위험이 존재한다. 정책당국은 경제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는 한편, 소비 촉진 정책 및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