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BSI 전망치 94.7
5월보다 올라, 최근 최대 상승
제조업, 비제조업 모두 부진 전망
올해 6월 기업 경기가 전월 대비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경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이같은 추세는 지난 2022년부터 3년가량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경제인협회가 27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6월 BSI 전망치는 기준선 100을 하회한 94.7을 기록했다. BSI는 2022년 4월(99.1)부터 3년3개월 연속으로 기준선 100을 하회하고 있다. BSI가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긍정 경기 전망을 의미하며 100보다 낮으면 부정 경기 전망을 의미한다.
다만 6월 BSI 지수값은 지난 5월(85.0)에 비해 9.7포인트 반등했다. 이는 2023년 3월(93.5) 이후 2년4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5월 BSI 실적치는 91.1로 조사됐다. 2022년 2월(91.5)부터 3년4개월 연속 부진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지수값은 4월(86.4)에 비해 4.7포인트 올랐다.
6월 업종별 BSI는 제조업(96.0)과 비제조업(93.5) 모두 기준선 100을 하회하면서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 BSI(96.0)는 2024년 4월부터 1년3개월 연속, 비제조업 BSI(93.5)는 올해 1월(84.9)부터 6개월 연속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6월 제조업 BSI 지수값은 전자·통신장비 업황 호조세에 힘입어, 5월(79.2)에 비해 16.8포인트나 급등했다. 이는 2021년 3월 이후 4년4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제조업 세부 업종(총 10개)별로는 전자 및 통신장비(123.5)와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103.0)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식음료 및 담배(100.0) ▲목재·가구 및 종이(100.0) ▲의약품(100.0)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00.0)을 제외한 석유정제·화학 등 4개 업종은 업황 악화가 전망된다.
특히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및 통신 장비'는 2010년 3월 이후 15년 4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제조업 BSI 반등을 주도했다.
한경협은 관세영향 회피를 위한 고객사 재고수요 증가, 중국 내수 진작책에 따른 PC·모바일 업체들의 수요 개선 등으로 시장 수급이 개선되고 있는 데다, 미·중 통상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주8)되면서, 해당 업종의 기업 심리가 밝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했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총 7개) 중에는 도·소매(101.8)가 유일하게 호조 전망을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여가·숙박 및 외식(100.0) ▲전문·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100.0)를 제외한 전기·가스·수도 등 4개 업종은 업종 악화가 전망된다.
한경협은 6월 비제조업 BSI의 부진은 도·소매업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월 기저 효과로 인한 여가·숙박 및 외식의 감소와 내수 부진주 장기화 여파에 따른 것으로 풀이했다.
6월 조사 부문별 BSI는 모두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내수(95.8)·수출(96.4)·투자(93.0)는 2024년 7월 이후 1년 연속 동반 부진이 이어졌다.
지금 뜨는 뉴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중 통상마찰이 한풀 꺽이고, 정부의 추가적인 경기부양 기대감으로 제조업 중심의 업황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 산업경쟁력 약화, 내수부진의 구조적 리스크는 여전하다"라며 "확장적 재정·통화정책으로 경기를 방어하고, 통상리스크 대응,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로 경기 심리의 확실한 반등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