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새’ 발대식 열고 홍보 활동 돌입
10월 대만 연계 교류 프로그램 추진
교육자료 전국 보급·문화공연 순회
전교생 2시간 이상 필수교육 도입
광주교육청이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맞아 5·18의 전국화·세계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청소년 홍보단 운영부터 교육자료 보급, 해외 교류까지 '세계 속의 5·18'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펼쳐진다.
6일 광주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일에는 '청소년 5·18 홍보단 푸른새'가 전일빌딩245에서 발대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이들은 5·18 사적지 탐방, 역사 왜곡 바로잡기, 카드뉴스·영상 제작 등 다양한 홍보 콘텐츠를 통해 국내외에 5·18의 역사와 가치를 알릴 계획이다. 우수 활동자는 '찾아가는 5·18 세계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대만 등 해외 교류 기회도 주어진다.
해외 교류도 확대된다. 오는 8월에는 외국 청소년을 초청해 5·18 사적지를 함께 둘러보는 '찾아오는 국제교류'가 예정돼 있으며, 10월에는 대만에서 2·28사건과 연계한 공동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 등 해외 체험 프로그램에서도 5·18을 전하는 활동이 이뤄진다.
전국화를 위한 노력도 이어진다. 시교육청은 자체 제작한 5·18 교육자료(PPT, 활동지 등)를 전국 시·도교육청에 배포하고,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도록 민주인권교육센터 누리집에 공개했다. 타 지역 학생 대상 체험학습 지원 프로그램과 '오월아 놀자' 같은 온라인 콘텐츠도 운영한다.
광주 학생들이 직접 5·18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마련됐다. 2일부터 24일까지 '학교로 찾아가는 문화예술공연'이 7개 학교에서 진행되며, 온챔버오케스트라가 창작 오라토리오 '빛이여! 빛이여! 빛고을이여!!'를 공연한다.
이와 함께 교육청은 7일부터 24일까지를 '5·18 기념주간'으로 정하고 기념식, 사적지 걷기 축제, 민주평화대행진, 청소년 문화제 등 기념행사를 이어간다. 이정선 교육감과 교육가족은 7일 5·18 학생 희생자 학교를 찾아 합동 참배를 진행한다.
지금 뜨는 뉴스
학교 차원에서도 5·18 교육을 강화한다. 올해부터 관내 모든 학교는 5·18 교육을 2시간 이상 필수 반영해야 하며, 기념사업 운영비도 학교당 50만~80만원이 배정된다. 아울러 각급 학교에는 인정 교과서, 전시자료, 오월 교육 꾸러미가 보급되며, 교원 대상 연수와 교사 연구회도 함께 운영된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