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넘겨야 '제평위 2.0' 구성 가능
네이버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 2.0' 구성이 상반기를 넘길 전망이다. 제평위는 뉴스의 언론사 입점과 제재, 퇴출 여부 등을 심사하는 역할을 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 서비스 자문기구인 '뉴스혁신포럼'의 제평위 구성 논의는 사실상 정체 상태에서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일찌감치 가이드라인을 마련한 상태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부터 이어지는 각종 정치 일정에 논의가 밀렸다. 내달 3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 이후에야 정치권과 본격적인 물밑 협의에 들어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2015년 독립적인 제평위를 구성해 포털과 뉴스 제휴를 맺을 언론사를 심사해 왔지만, 각종 공정성 시비를 비롯해 위원들의 이념 편향 논란이 끊이지 않으며 2023년 5월 활동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이어 더딘 논의 진전에 카카오는 지난해 연말부터 100% 정량 평가를 기준으로 신규 언론사 입점을 시작했고, 네이버는 자체 제평위 구성을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정치권과 협의에 막혀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뉴스혁신포럼 내부적으로는 최대 1000명에 이르는 미디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풀단을 구성, 무작위 추첨을 통해 수십명의 심사위원단을 구성해 매체 입점과 퇴출 심사를 진행하는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검찰수사심의위원회 등 정부 부처나 산하기관, 공공단체 등에서 객관적인 심의를 위해 비공개 전문가 풀단을 운영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이다.
기존 제평위의 경우 15개 단체 30명의 위원 중 일부를 심사위원으로 선정했지만 제평위원 전원의 신상이 외부에 노출되면서 로비 가능성과 함께 공정성, 객관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지금 뜨는 뉴스
네이버 관계자는 "전문성과 불공정 문제들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검토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대선을 넘겨 하반기가 돼야 제평위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제평위가 연내 출범 및 운영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