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 등과 '생물다양성 증진' MOU
ESG 경영 일환…중공업·화학 계열사도 참여
황윤언 "육해공 아울러 생태보전 강화하겠다"
효성이 멸종위기 곤충 인공증식을 통해 생태계 복원에 나선다. 효성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책임 경영 측면에서 생물다양성 증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효성그룹은 전날인 21일 서울 마포구 본사에서 국립생태원, ㈜숲속의작은친구들과 함께 '멸종위기 곤충 복원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2일 밝혔다. 협약에는 ㈜효성,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 효성화학㈜ 등 주요 계열사가 참여했다.

효성은 2027년까지 비단벌레, 소똥구리, 물장군 등 멸종위기 곤충의 증식과 복원을 위한 기금을 지원한다. 국립생태원은 소똥구리 인공증식 기술을 비롯한 생태계 복원 노하우를 이전하고, 곤충 전문기업인 ㈜숲속의작은친구들이 이를 활용해 멸종위기 곤충 복원에 나선다. 효성의 기금은 인공 증식을 위한 생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먹이를 구입하는 데에 사용된다. 효성은 지난해에도 ㈜숲속의작은친구들에 비단벌레와 물장군 인공 증식을 위한 설비를 지원한 바 있다.
지금 뜨는 뉴스
황윤언 효성 대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잘피 숲 조성 활동, 멸종위기 조류의 보호를 위한 철새 먹이 지원 등 다양한 생물 종 보전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며 "이번 곤충 복원 협약을 계기로 육지, 바다, 하늘을 아우르는 생태 보전 활동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