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암·금호 등 8곳 시범사업 진행
지역특성·의지·지역균형 등 고려
市 "서울 전역 100개 이상 실현"
서울시가 도보 30분 내에서 생활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누릴 수 있도록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에 나선다. 서울 곳곳을 자족적인 생활공간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22일 서울시는 이를 위해 8개 사업지를 대상으로 보행일상권 조성 시범사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 등으로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 마련 및 시범사업 추진' 용역 자문에 참여한 전문가들이 선정했다.
'보행일상권'은 미래공간전략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2022년 3월 발표)에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 팬데믹·디지털 대전환과 같은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주거지의 일상 중심공간 부상 등 생활양식을 반영한 도시공간 개념이다.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주거용도' 위주로 형성돼 있는 서울의 일상생활 공간을 전면 개편함으로써 시민 삶의 질을 한층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초점은 '보행일상권 실현을 위한 계획 마련'에 뒀다.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일상권 조성 계획 ▲보행일상권 내 필수시설의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가로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9월까지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서울 전역으로 점차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지별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도 마련한다. 향후 공급 방안과 관련, 공공시설의 경우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 등을 활용하고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 등도 제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지역별 인구 특성'을 반영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이 기능이 실현되면 영유아나 노인 등 특정 인구집단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인구특성에 맞는 필수시설 확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 뜨는 뉴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