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종속회사 15개 편입
절반 이상이 친환경·전기차
미래 지향적 사업으로 전환
印尼 기업 3곳 인수하는 등
LS일렉트릭이 폐기물을 고형연료로 바꾸는 자원순환 기업을 자회사로 편입했다. LS 계열사로 폐기물 기반 연료기업이 들어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전력기기 중심의 기존 사업에 친환경을 추가함으로써 에너지 기업으로 외연을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LS일렉트릭은 지난해 폐기물로 고형연료를 생산하는 제스코이지 지분 100%를 확보해 종속회사로 편입했다. 기존 채권 회수 과정에서 담보 형태였던 지분에 대해 질권을 실행한 방식이다.
제스코이지는 폐비닐과 폐목재, 종이 등 가연성 폐기물을 가공해 고형연료(SRF)를 생산한다. 이 연료는 시멘트 공장, 산업용 보일러, 발전소 등에서 석탄이나 중유를 대신해 사용된다. 탄소배출을 줄이고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도 맞물린다.
LS일렉트릭은 현재 고압차단기, 계전기, 배전반 등 전력기기 제조와 함께 초고압 송배전 시스템, ESS(에너지저장장치), 스마트그리드 솔루션까지 전력 인프라 전반을 아우르고 있다. 여기에 고형연료사업을 추가해 에너지원까지 자체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일부 갖추게 됐다. 예를 들어 산업용 보일러나 발전소 등 대규모 전력 소비처에 고형연료를 공급할 경우 연계가 가능해진다. 자체 SRF를 활용해 에너지 생산-전력제어-스마트운영까지 수직계열화한 통합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 셈이다.
LS일렉트릭은 최근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을 강조해왔다. 폐기물자원화→에너지 생산→전력 제어까지 아우르는 수직적 친환경 전력 생태계 구축의 초석을 마련한 셈이다. 이는 향후 국내외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의 지속가능성과 기술 독립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협력사였던 제스코이지는 친환경 전략에 부합하는 역량을 갖췄다"며 "향후 사업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S일렉트릭은 제스코이지를 포함해 총 15개 종속회사를 새롭게 편입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친환경, 자동화, 전기차 등 신사업 중심이다. 단순한 외형 확장이 아닌 사업 방향 자체를 미래 지향적으로 바꾸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전기차 부품 분야에서는 미국에 현지 법인 'LS이모빌리티솔루션 아메리카'를 설립하고 전기차용 릴레이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자동화 부문에서는 티라유텍(지분 31.85%)과 자율주행 물류 로봇 제조사 티라로보틱스(지분 52.14%), 전기제어 장비 제조사 티라아트로보(지분 100%) 등 유망 기업들을 연달아 계열에 포함했다.
해외 확장도 본격화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전력 시공 및 유통 전문기업 3곳을 한꺼번에 인수하며 동남아 전력 인프라 시장 공략에 나섰다. 현지 기업 푸라 마융안(지분 60%)과 그 자회사인 푸마 일렉트릭 니아가, 프리마 메가 콘트라크토르는 배전설비 제작부터 시공, 유통까지 전 과정에서 경쟁력을 갖춘 중견업체다. LS일렉트릭은 이들 기업을 통해 현지 EPC(설계·조달·시공) 수행 역량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배전 시스템 수출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지난달 정기주주총회에서 "호황에만 기댄 실적은 위기 상황에서 쉽게 무너질 수 있다"며 "미래 성장사업 확보와 글로벌 사업 강화, 조직 간 시너지 확대를 통해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