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풀이 되는 플랫폼 미정산 문제
법 개정안으로 당장 해결 어려워
플랫폼 관리할 컨트롤 타워 필요
![[기자수첩]'제 2의 발란' 막을 컨트롤타워가 시급하다](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5040114181292403_1743484974.jpg)
"터질 것이 터졌다."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일으킨 명품 플랫폼 발란이 결국 기업회생을 신청하자 e커머스 업계에선 이런 반응이 나왔다. 발란은 지난달 24일 미정산 사태 발생 이후 일주일간 '결제 시스템에 오류가 발견돼 정산이 늦어진다'는 변명만 앵무새처럼 반복하다 결국 법정관리를 선택했다. 시스템 오류를 이유로 내세운 정산 지연, '셀러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말, 기습적인 기업회생신청까지 모두 지난해 여름 전국을 뒤흔든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와 꼭 닮았다.
해마다 결손금이 늘어났던 티메프처럼 발란도 조짐은 있었다. 2015년 5월 설립된 발란은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e커머스 시장의 폭풍 성장과 함께 명품 소비가 급증하면서 기업가치가 뛰었다. 2020년 200억원대 매출에 불과했던 발란은 2022년 매출이 891억원까지 불어났고, 네이버를 비롯한 수십곳의 벤처캐피탈로부터 대규모 투자도 받았다.
하지만 발란은 설립 이후 단 한 번도 흑자를 내지 못했다. 경기 위축으로 명품소비족이 급감하면서 실적은 곤두박질했고, 2023년 기준 매출액 392억원과 1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현금을 벌어들이지 못하면서 투자금으로 기업이 운영됐다. 결국 발란은 2023년 자본총계 -77억원으로, 자본금(4억7000만원)을 전부 까먹은 완전 자본잠식에 빠졌다. 당시 외부감사를 맡은 삼도회계법인은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이 있다"고 적었다.
경고음은 울렸지만 피해는 되풀이됐다. 발란은 유동성 위기 속에서도 빅스타를 고용한 기업광고와 쿠폰을 뿌리며 셀러와 투자자들을 더 끌어모았다. 발란의 미정산 대금은 13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앞으로 기업 존속에 어려움을 겪는 플랫폼들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티메프 사태 전후로 명품거래 플랫폼 '모노그램G', '알렛츠' 등은 미정산금을 남긴 채 폐업했다. 발란과 함께 '머·트·발'로 불리던 '머스트잇'과 '트렌비'는 중고시장에 진출하며 사업모델을 변경했지만, 이익 없이 결손금만 해마다 불어나고 있다.
지난해 티메프 사태 이후 매출 100억원 이상인 플랫폼에 대해 '판매대금의 50% 별도 관리'와 '판매자 정산기한 최대 20일 준수'를 의무화한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입법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이 개정안은 e커머스 플랫폼의 판매대금 정산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발란처럼 투자금 돌려막기를 통해 연명하는 플랫폼을 관리할 수 있는 안전장치는 빠졌다.
지금 뜨는 뉴스
지금처럼 판매자와 소비자들의 주의 의무에만 맡긴다면 제3의 티메프, 제2의 발란의 등장은 시간문제다. e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컨트롤타워가 시급하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