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로빈후드, 주식 앱서 베팅서비스
투자 패러다임 바꿀 마중물 될까
![[시시비비]‘예측 거래’의 미래](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5032010415875955_1742434918.jpg)
짜릿하기로는 ‘돈내기’만 한 게 있을까. 월드컵이나 올림픽 같은 큰 스포츠 이벤트가 열리는 때면 사무실에서 삼삼오오 경기 결과를 두고 ‘만원빵’ 내기를 한다. 주식거래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이런 베팅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업체가 있다. 미국의 금융 플랫폼업체 로빈후드가 그 주인공이다. 이 회사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칼시(Kalshi)라는 회사와 손잡고 ‘예측 시장(prediction market)’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이른바 ‘예측 기반의 이벤트 거래’를 하겠다는 것이다. 스포츠베팅이든, 선거 결과든 충분한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한다면 일반 선물 옵션 상품과 다를 바 없다는 이유다.
로빈후드는 금융상품의 대중화를 성공시킨 업체로 유명하다. 로빈후드 앱 사용자는 마치 게임을 하듯 주식을 거래한다. 주식을 사면 폰 화면에 폭죽이 터지고, 화면 속 스크래치 카드를 긁어 당첨되면 테슬라 주식을 주는 이벤트도 연다. 탁월한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으로 토스 등 국내 인터넷 뱅킹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칼시는 ‘탈중앙화 예측 이벤트 거래’를 서비스하는 업체로 ‘날씨’부터 ‘정치’까지 모든 것에 베팅할 수 있는 온라인 거래소다. 로빈후드는 칼시와 함께 내달 전미 대학 농구 우승팀이나 5월 연방준비제도(Fed) 기준금리 맞추기 등 다양한 예측 거래 상품을 준비하고 있다. 새로 시작할 예측 거래도 기존 앱을 통해 할 수 있다.
두 회사는 이미 ‘간 보기’도 마쳤다. 지난달 초 로빈후드는 칼시와 제휴해 슈퍼볼 우승팀을 알아맞히는 이벤트를 하겠다고 공지했지만, 미국 상품거래 위원회(CFTC)의 제재로 하루 만에 배너를 내렸다. 위원회가 아직 해당 이벤트에 대한 위험관리 평가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런데도 이벤트 철회 한 달 만에 로빈후드는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같은 자신감은 어디서 왔을까. 미국 정부가 최근 영입한 인물을 보면 알 수 있다. 슈퍼볼 이벤트 철회 일주일 뒤인 지난달 1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CFTC의 차기 위원장으로 브라이언 퀸텐츠라는 인물을 임명했다. 당시 퀸텐츠는 칼시의 이사회 멤버였다. 또 지난 1월에는 트럼프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칼시의 전략 고문으로 합류하기도 했다. 정부가 예측 이벤트 거래를 어떤 시각으로 보는지 미뤄 짐작할 만하다.
지금 뜨는 뉴스
로빈후드의 당찬 도전이 차별화된 금융 서비스로서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까. ‘사행성 조장’이라는 예측 가능한 답은 잠시 접고 돈의 흐름에 집중하자. 눈여겨볼 점은 세 가지다. 우선 소비자들이 이 서비스를 새로운 투자 상품으로 인식한다는 사실이다. 최근 로빈후드 앱 사용자 대상 설문에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묻자, 응답자 중 78%가 "그렇다"고 답했다. 두 번째, 혁신가들을 중심으로 금융상품의 경계를 허물기 위한 구체적인 행보가 시작됐다는 점이다. 세 번째, 돈 냄새 맡은 월가의 늑대들이 몰린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로빈후드는 최근 수년째 가상화폐와 파생상품을 포함한 신흥 자산 클래스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지난해 로빈후드의 주가는 150% 상승했고, 예측 거래 서비스 출시 발표 전후로 한 주간 15% 급등했다.
박충훈 콘텐츠편집2팀장 parkjov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