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1000억 달러 대미 투자 계획 밝혀
트럼프 대화 늦어질수록 추가 부담 늘어날 것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의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향후 대미 투자 계획을 밝혀야 할 삼성전자의 부담이 커졌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6일 자유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국책 연구기관인 중화경제연구원(CIER)의 롄셴밍 원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TSMC의 미국 투자 확대 소식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볼 필요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먼저 관세부과를 발표하고 행정절차를 보완하는 스타일"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는 빠를수록 좋으며 늦어질 경우 추가로 부담해야 할 부분이 많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TSMC가 먼저 1000억 달러라는 대미 투자의 기준을 제시함에 따라 이제 그다음으로 걱정해야 하는 곳은 삼성전자가 될 것이라고 했다. 반도체 고율관세를 피하려면 TSMC처럼 대미 투자 계획을 밝혀야 하는데, 삼성전자 입장에선 TSMC의 투자 규모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이야기로 해석된다.
앞서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뒤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5조9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금 뜨는 뉴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기업과의 기술협력 요구에 이어 TSMC가 대규모 투자 계획을 추진하면서 대만 내에서는 '조국을 지키는 성산(성스러운 산)'이라 불리는 TSMC의 '탈대만'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