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영업이익·부채액 등 악화
가장 큰 애로사항 '경쟁 심화'
2023년 소상공인 경영 실적이 2022년과 비교해 크게 악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내수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상품권 발생을 확대하고 저금리 자금 공급 등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27일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2023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잠정 결과를 발표했다. 소상공인 실태조사는 매년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기존에 통계청과 중기부가 공동으로 수행하던 것과 달리 이번 조사는 중기부가 단독으로 조사했다. 아울러 기존에 사업체 단위로 조사하는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명부를 활용하던 것과 달리 기업 단위 통계로서 조사자료와 행정자료를 결합한 '기업 통계등록부'로 명부를 변경했다. 이에 따라 기업체 단위의 소상공인 실태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고 행정자료에만 존재해 기존 조사에서 누락되던 소상공인까지 포함돼 조사 범위가 확장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소상공인 기업체 당 연간 매출은 1억9900만원으로 전년(2억3400만원) 대비 14.9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연간 영업이익은 3100만원에서 2500만원으로 19.35% 줄었다. 부채 상황도 전반적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체 보유 비율은 2022년 59.3%에서 2023년 60.9%로, 같은 기간 기업체 당 부채액은 1억8500만원에서 1억9500만원으로 늘었다.
소상공인이 경영과정에서 겪는 가장 큰 애로사항(복수 응답)으로는 경쟁 심화(59.1%)가 꼽혔다. 이어 원재료비(42.1%), 상권쇠퇴(36.7%), 보증금·월세(25.6%), 최저임금(14.9%) 순이었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2023년은 일상으로의 회복이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증가한 부채와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소상공인의 경영 여건이 여전히 녹록지 않았을 것"이라며 "중기부는 내수 활성화를 위해 올해 온누리상품권 발행을 5조5000억원으로 늘리고 3월 동행 축제를 개최하는 한편,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저금리 자금 공급, 배달·택배비 지원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기부는 다음 달 실태조사 확정 결과가 나오면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정책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이번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소상공인 기업체 수는 596만1000개, 종사자 수는 955만1000명으로 조사됐다. 기업체 당 종사자 수는 1.60명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200만개(33.6%)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업 85만4000개(14.3%), 숙박·음식점업 79만개(13.3%)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제조업(55만4000개·9.3%), 건설업(55만1000개·9.2%)이 많았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