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재 스위스 대사가 20일 신임장을 제정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과 러시아 등 우방국을 제외하곤 국경을 틀어막았던 북한이 최근 서방국을 중심으로 외교전선을 넓히는 모양새다.
21일 북한 노동신문은 "김정은 동지에 스위스 연방 대통령이 보내온 우리나라(북한) 주재 스위스 특명전권대사의 신임장이 봉정됐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의 위임을 받은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전날 만수대의사당에서 유르그 스테판 부리 스위스 특명전권대사로부터 신임장을 받았다. 다만 스위스는 북한에 대사관을 두지 않고 주중 스위스 대사가 북한 대사를 겸임한다.
노동신문은 아울러 "최 동지는 대사와 친선적인 분위기 속에서 담화를 했다"고 덧붙였다. 북한과 스위스는 지난달 외교관계 수립 50주년을 맞았다.
북한은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경을 봉쇄했다. 이에 대다수 국가는 평양 주재 공관을 철수했다. 2023년 8월께 국경을 다시 열었으나 중국과 러시아, 몽골, 쿠바 등 친북 국가에만 제한적으로 대사관 운영을 허용했다.
지금 뜨는 뉴스
그러다 지난해 9월과 11월 스웨덴과 폴란드가 북한 주재 대사관을 다시 열었고, 이번 스위스까지 신임 대사가 부임하면서 서방 국가들과의 외교 접점을 넓히는 모습이다. 현재 북한 주재 대사관을 운영하는 국가는 15개국으로 알려졌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