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핵심인력 제외 전 직원 행정휴직
해외 주재 직원도 30일내 귀국 지원"
NYT "해외 주재 직원만 1만명"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각종 위법 및 외교적 결례 논란에도 대외원조 조직인 미 국제개발처(USAID) 해체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해외 주재원을 포함해 1만명이 넘는 직원들을 극소수 인력만 남긴 채 7일(현지시간)부로 전부 휴직 조치할 것이란 방침도 공식화했다.
6일 USAID는 공지문을 통해 "7일(현지시간) 오후 11시 59분부로 일부 핵심 보직자를 제외하고 USAID가 직접 고용한 전 직원에 대해 전 세계적인 행정휴직(administrative leave) 조치를 취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이 아닌 지역에 주재하는 직원들에 대해서는 30일 내로 미국으로 귀국이 가능하도록 계획을 준비 중이라며 "필수 인력으로 간주되지 않는 개인 서비스 계약(PSC)과 기관 서비스 계약(ISC)도 종료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행정휴직은 직원이 공식적으로 직무에서 배제되지만, 일반적으로 급여는 지급되는 상태다. 영구적 조치인 해고와는 구분되지만, 직원의 자발적 요청이 아니라는 점에서 강제성을 띤다. 조직 개편 등 일부 조직 내부 이슈로 활용되는 게 일반적으로, 정책 결정인 USAID의 사례는 이례적인 경우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해외 지역에 주재하는 USAID 직원은 약 1만명이고 미국 내 직원은 1400명에 이른다. 이미 약 100명의 고위 직원들이 행정 휴직 상태로 수백 명의 계약직 직원들도 업무 중지 명령을 받았다.
내부 반발도 거세다. NYT는 미국 외교협회(AFSA)가 내부 회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불필요하고 급진적인 조치를 비판하며, 회원 보호를 위한 법적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AFSA는 미국 외교관과 해외 외교 업무 등을 담당하는 직원들을 대표하는 직능 단체이자 노동조합이다.
다음 타깃으로는 교육부가 유력하게 꼽히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3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참모들이 교육부 해체를 위한 행정명령 초안을 만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법에 명시되지 않은 교육부의 모든 기능을 폐지하거나, 특정 기능을 다른 부서로 이관하는 방안 등을 놓고 구체적인 행정명령 내용과 발표 시기를 논의하고 있다. 또 정부효율부에서도 교육부를 들여다보는 중이다. 교육부 직원 60명 이상이 지난달 31일부터 유급 휴가를 받았다.
지금 뜨는 뉴스
이는 교육부를 없애고, 교육에 대한 연방 개입을 제한해 주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공약을 이행하는 것이다. ‘트럼프 2.0 공약집’으로 불린 헤리티지 재단의 정책 제언 ‘프로젝트 2025’도 교육부 폐지를 촉구했다. 미국 보수 세력은 학자금 대출 탕감과 성 소수자 보호 등 바이든 행정부의 교육부 조치를 거세게 비판한 바 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