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3000달러 간다"…벌써 8%↑ '트럼프 리스크'에 사상 최고치 찍은 금값

시계아이콘01분 0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관세 위협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 확대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로 안전자산 선호가 높아진 영향이다. 시장에서는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30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2.7% 상승한 1트로이온스당 2845.2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장중 한때 2853.2달러까지 치솟아 지난해 10월 세운 사상 최고가 2800.8달러를 경신했다. 이로써 금값은 올해 들어서만 8%가량 뛰었다.


"3000달러 간다"…벌써 8%↑ '트럼프 리스크'에 사상 최고치 찍은 금값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로 안전자산 선호가 높아진 영향이다. 로이터연합뉴스
AD


최근 금값 상승의 배경으로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꼽힌다. 관세 인상 등 무역 정책과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확산하면서 금 투자 수요가 확대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 마약 유통과 불법이민 단속을 요구하며 모든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거듭 경고했다. 그는 이날도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우리는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아마 오늘 밤에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금과 같은 원자재가 인플레이션 헤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다.


스탠더드차터드의 수키 쿠퍼 애널리스트는 "관세에 대한 우려가 크다"며 "광범위한 자산 위험이 있을 때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매력이 빛을 발한다"고 분석했다.


미국이 자국에 유입되는 금괴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관측도 금값을 밀어 올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모든 수입품에 보편관세를 10~20% 부과할 수 있다고 예고한 후 투자자들이 런던에 보관해 온 금을 뉴욕으로 옮기면서 세계 최대 금 현물 시장인 런던에 금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서다.


최근 달러 가치 하락으로 해외 투자자들이 달러 표시 자산인 금을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된 것도 금 투자 확대 및 금값 상승에 기여했다.


시장에서는 '금값 랠리'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스파르탄 캐피털 서비스의 피터 카딜로 수석 시장 이코노미스트는 금 시세가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AD

"3000달러 간다"…벌써 8%↑ '트럼프 리스크'에 사상 최고치 찍은 금값 연합뉴스

일본 미쓰비시UFJ파이낸스그룹(MUFG)은 "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쇼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원자재는 이를 헤지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안전자산 수요를 주도하면서 올해 금은 단기적으로 훨씬 더 추가 상승할 동력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