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 AI 전문가 "딥시크, 키보드 입력 리듬까지 싸그리 수집" 경고

시계아이콘00분 5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中 서버에 저장…고려해서 사용"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중국제 AI 모델 '딥시크'와 관련해 국내 대표 IT 기업 '네이버' 소속 AI 전문가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우려했다. 딥시크가 수집하는 이용자 개인정보의 범위가 매우 넓다는 지적이다.


27일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은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딥시크의 프라이버시 정책 약관을 봤다"며 "수집하는 정보가 매우 광범위하게 많다. 심지어 (이용자가) 사용하는 정보는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이나 리듬, IP 정보, 장치 ID 등은 기본이며 쿠키도 싸그리"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연하게도 수집한 사용자 정보는 중국 내에 있는 보안 서버에 저장"한다며 '이런 것들을 미리 잘 주지하고 고려해서 사용해야겠다"고 강조했다.


한국 AI 전문가 "딥시크, 키보드 입력 리듬까지 싸그리 수집" 경고 딥시크. 로이터연합뉴스
AD

해당 포스트에 대해 여러 누리꾼은 "저도 그 생각(개인정보 유출)부터 들었다", "중국 것이라 쓰기 꺼려진다" 등 우려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API를 무지막지하게 싸게 푼 이유도 설마 (개인정보 수집을 위한 방안 아니었나)"라고 묻자 하 센터장은 댓글로 "충분히 개연성은 높다"고 답하기도 했다.


실제로 딥시크가 '중국'에서 개발된 AI 모델인 것을 두고 국내외에서 우려하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미 AI 기업 오픈AI의 전 임원 출신인 잭 카스는 딥시크의 비용 효율성에 대해 찬사를 보내면서도, 챗봇이 중국 정부나 시진핑 국가주석 관련 정보를 검열하는 등 미심쩍은 문제가 있다며 지적한 바 있다.


딥시크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범위가 유럽연합(EU)의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GDPR)을 준수하지 않아, 중국 외 지역에서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견해가 나오기도 했다.


AD

한편 하 센터장은 딥시크를 비롯한 여러 최신 AI 모델 동향을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그는 28일 딥시크의 아키텍처를 분석한 논문 내용을 소개하며 "미국의 천문학적인 투자는 아니어도, 일정 이상 AI 역량을 축적한 국가나 기업은 미국 빅테크 수준의 경쟁력 있는 AI를 만들 수 있다는 측면에서 AI의 보편화, 대중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