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때보다 혼돈·격변…내실 다져야"

국내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 최고경영자(CEO)가 새해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새해 경영목표로 내부통제 확립, 경쟁력 강화, 사회공헌 확대 등을 내걸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 CEO는 신년사를 통해 올해 경영환경이 어느 때 보다 심화한 대내외적 불확실성으로 위협받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강한 대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예측하기 어려운 혼돈과 격변이 예상되는 한 해”라며 “대내외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갈등 요소로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상황”이라고 짚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도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매우 중요한 시기”라며 “올 한해를 비상 경영 체제로 운영해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강한 대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책무구조도 시행 첫해인 올해 ‘내부통제 체계 확립’도 주요 경영목표로 설정했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지난해 내부통제에 역점을 두고 전사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고객과 사회의 눈높이에 부족한 점이 있었다”면서 “올해는 내부통제를 신한의 핵심 경쟁력으로 확고히 정착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손태승 전 회장의 친인척 부정 대출 사건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임종룡 회장은 “그룹의 내부통제 체계 전반을 근원적으로 혁신하고 윤리적 기업문화를 확립해 나가겠다”면서 “기업문화가 단기간에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중도에 절대 포기하지 않고, 중단 없이 긴 호흡으로 일관되게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기 대응을 위한 경쟁력 확보 등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어려운 때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말처럼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복잡한 전략이나 단기적 해결책보단 기본적이고 본질적 요소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기초체력을 위해선 본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강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철저한 리스크관리와 엄격한 내부통제, 효율적인 비용 집행으로 내실을 다져야 한다”고 했다.
양종희 회장도 “효율과 혁신을 통해 KB의 체력을 더욱 탄탄히 만들어야 한다”면서 “우리가 추진하는 모든 비즈니스에 효율적으로 자본이 배분되는지 살펴봐야 한다. 과거와 달리 고객수익률, 순고객추천지수(NPS),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이제는 모든 것이 데이터와 성과로 증명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4대 금융은 또 내수경기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인 만큼 사회공헌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임종룡 회장은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연결하고, 사회적 온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한 시기로 우리가 그 역할을 해야 할 때”라며 “금융 취약계층과 소외된 이웃을 포용하고, 상생의 가치를 실천해 책임을 다하자”고 했다.
지금 뜨는 뉴스
진옥동 회장도 “기업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높이고 금융을 통한 사회적 이슈 해결에 앞장서겠다”면서 “녹색금융 및 전환금융 공급을 늘려 저탄소 경제 전환에 힘을 보태고, 우리 사회가 함께 풀어가야 할 저출산 문제에 실질적 해법을 모색하고 청년세대 지원에도 진정성 있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