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 라마 총리 “아이들 아닌 어른과 사회의 문제”
폭력 조장하는 틱톡 알고리즘도 비판
남유럽의 알바니아가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을 1년간 차단한다.
2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에디 라마 알바니아 총리가 앞서 학교를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이같이 조치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라마 총리는 학부모 및 교사 단체와 면담을 가진 후 이같이 결정했다. 그는“우리는 1년간 모든 이의 틱톡 사용을 완전히 차단할 것”이라며 “알바니아에 틱톡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지 조치는 내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알바니아에서 14세 소년이 동급생에 의해 칼에 찔려 살해당하며 충격을 던진 사건이 벌어진 이후 이뤄졌다. 현지 언론은 두 소년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다툼을 벌인 후 사건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또한 일부 젊은이들이 이번 살인을 지지한다고 말하는 영상이 틱톡에 올라오기도 했다.
라마 총리는 틱톡 금지를 발표하면서 “오늘날의 문제는 우리 아이들이 아니라 어른들이고 우리 사회”라고 말했다. 총리실은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있는 중국에서는 틱톡이 이처럼 폭력을 조장하는 콘텐츠를 추천하지 않는다면서 틱톡의 알고리즘 구조를 지적하기도 했다.
총리실은 “혐오와 폭력, 따돌림 등 끝없는 언어 지옥의 재생산 조장하는 알고리즘을 멈추도록 강제하기에는 알바니아는 너무 작은 나라”라면서 “틱톡이 중국에서는 청소년들이 심연으로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라마 총리는 우선 1년간 이용 금지에 대한 틱톡과 다른 SNS 기업의 대응 조치를 살핀 후 이후로도 틱톡 금지를 계속 이어갈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틱톡 측은 이번 조치에 대해 반발하며 알바니아 정부의 명확한 설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틱톡 측은 “사건의 용의자나 희생자가 틱톡 계정을 소유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으며, 여러 보고에 따르면 사건의 계기가 된 영상들은 틱톡이 아닌 다른 플랫폼에 게재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알바니아 정치권에서도 이번 조치가 하마 총리의 정치적 결정이라는 비판이 야당을 중심으로 나왔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다. 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의 지지를 모으려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알바니아 외에도 전 세계적으로 틱톡 등 SNS가 청소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최근 서유럽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SNS 사용 규제를 강화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호주 정부는 지난달 세계 최초로 16세 미만 어린이의 SNS 사용을 전면 금지한 바 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