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긴급 실태 조사
10곳 중 3곳 '계약 지연, 감소 및 취소' 등 피해
‘12·3 비상계엄 사태’로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3곳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불안정한 국내 경제 상황과 관련, 수출 중소기업의 피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긴급실태 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수출 중소기업 513개를 조사한 결과 국내 정치상황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수출 중소기업은 26.3%였다. 주요 피해 사례는 ‘계약 지연, 감소 및 취소’(47.4%), ‘해외 바이어 문의 전화 증가’(23.7%), ‘수·발주 지연, 감소 및 취소’(23.0%), ‘고환율로 인한 문제 발생’(22.2%) 등이 있었다.
아직 피해는 없으나 향후 입을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수출 중소기업은 63.5% 였으며, ‘없다’는 응답이 36.5%였다.
청주 소재의 제조업 대표는 "12월 3일 이후 논의 중이던 계약을 해외 바이어들이 지연시키고 있으며, 불안정한 국내 상황으로 인해 해외 바이어들이 계약시 선지급금 지불을 꺼리고 있는데, 이로 인해 회사 경영 상황이 많이 어려워졌다"고 전했다.
환율 상승에 따른 피해도 있었다. 경기도 소재의 제조업 대표는 "계엄 전날에 송장을 받아 결제를 앞두고 있었는데, 하루 사이에 갑자기 환율이 올라서 손해 발생. 해외 거래처에서 제시간에 결제가 안될 것을 우려하여 결제기일을 앞당길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현재와 같은 국내경제의 불확실성의 예상 지속 기간에 대해서는, ‘6개월 이내’가 49.3%로 가장 높았으며, ‘1~2년 간 지속’(32.2%), ‘2년 이상 장기화’(8.2%), ‘올해까지만 지속’(7.4%)이 그 뒤를 이었다.
피해 대응 대책을 묻는 질문에는 ‘국내 상황에 문제 없음을 적극 해명’이 51.7%로 가장 높았고, ‘새로운 바이어 발굴 노력’(13.3%), ‘피해를 감수하고 계약 대안 제시’(8.8%)등이 뒤를 이었으나, ‘마땅한 대응책 없음’도 25.5%에 달했다.
정부가 현재 상황 극복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 해야하는 정책으로는 ‘국가 대외 신인도 회복 방안 마련’(74.7%), ‘환율 안정화 정책 마련’(55.2%), ‘해외 판로 확대 지원’, ‘주요 원자재 수입 관세 인하’(각 34.9%) 순으로 조사됐다.
지금 뜨는 뉴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국가 신뢰도 및 이미지 하락과 환율 급등으로 인한 여파로, 수출 중소기업들이 힘든 상황으로, 무엇보다 대외신인도 회복과 환율 안정이 중요하다”며 “급격한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회, 정부, 중소기업계가 한마음으로 협력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