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가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경제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Krishna Srinivasan)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국장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아세안(ASEAN)+3 경제협력·금융안정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아세안+3는 동남아시아국가들과 한국, 일본, 중국이 포함된 협동포럼이다.
스리니바산 국장은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아세안 국가의 평균 국내총생산(GDP)은 0.2~0.4% 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며 5년간 최대 1% 가량 GDP가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과의 무역 노출도에 따라 아세안 소속 국가별로 중국 경기 침체의 영향이 다르다"며 "베트남 같은 경우 중국과의 무역 비중이 큰 반면 태국은 상대적으로 작아 영향력이 덜 할 수 있다"고 사례를 들었다.
스리니바산 국장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아세안 국가들에게는 오히려 도움이 된 부분이 있었다고도 진단했다. 미국의 제재로 중국에서 수출이 막힌 제품이 아세안 국가를 통해서 수출되는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아세안 국가에서 중국이나 미국의 관세의 대상이 되는 제품의 수출이 그렇지 않은 제품의 수출보다 빠르게 성장했다"며 "아세안은 이같은 무역 전환의 기회를 활용해 수출을 늘려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각국의 무역갈등이 심화할수록 전체 국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커진다고 말했다. 그는 "무역 분열은 공급망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장기적으로는 모든 국가가 손실을 본다"고 강조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