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신약 개발 기업 HLB 그룹(이하 HLB)과 암, 파킨스병 등 난치성 질환의 신약을 개발하는 데 협력키로 했다.
KAIST는 16일 대전 본원에서 HLB와 이 같은 내용의 포괄적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협약을 토대로 양측은 난치성 질환 신약 발굴을 위한 교육과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 바이오 의료분야의 GDP 기여율은 1.6%며, 연간 7000조에 이르는 세계 신약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미미하다. 한국경제의 바이오 의료분야의 약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KAIST는 첨단 바이오 분야 발전을 위해 생명과학기술대학 산하에 ‘공학생물학대학원’과 ‘줄기세포 및 재생의료대학원’프로그램을 개설해 운영하는 한편 지방자치단체, 신약 개발 기업과 전방위적 협력으로 국내 바이오 의료분야의 선순환 발전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HLB 그룹은 간암 치료제 리보세라닙을 개발해 임상 3 상후 FDA 승인 절차를 밟고 있는 신약 개발 기업이다. 특히 이 기업은 최근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과 노인건강 관련 사업에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HLB는 KAIST 신약 개발 교원창업기업인 ㈜뉴로토브에 160억을 투입해 자회사로 인수해 ㈜HLB 뉴로토브를 꾸리고, 파킨슨병·근긴장이상증·우울증 등 난치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는 중이기도 하다.
진양곤 HLB 회장은 “KAIST와의 협력이 파킨슨병, 근긴장이상증 등 대표적 난치성 뇌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HLB 뉴로토브의 기술개발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HLB 뉴로토브를 성공적인 학내 창업 모델로 성장시켜 성공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해 KAIST의 창업 생태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혁신 기술에 대한 개방형 산학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는 HLB와 협약을 통해 암과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을 포함한 바이오 의료분야의 신약 개발과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라며 "과학기술과 제약 산업의 융합이 향후 인류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미래 바이오 의료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