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아침에 일어나다 침대 옆 탁자에 턱 부딪쳐
프란치스코 교황이 오른쪽 턱 아래와 목 위쪽에 멍 자국이 선명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는 8일 외신 보도 등을 인용해 이날 프란치스코 교황은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새 추기경들의 서임을 위한 추기경 회의에 참석했는데 턱 부분에 선명한 멍 자국이 보였다고 보도했다.
프란치스코 교황 측은 교황이 전날 아침에 일어나다가 침대 옆 탁자에 턱을 부딪쳐 멍이 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3년 교황으로 즉위한 프란치스코는 최근 몇 년간 병치레가 잦아 건강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지난 2017년에는 콜롬비아를 방문해 오픈카 형태의 교황 전용차인 ‘포프모빌’을 타고 인파 사이를 지나다가 포프모빌이 급정거하는 바람에 차 창문에 머리를 부딪혀 부상을 당하기도 했다. 2022년 봄부터는 오른쪽 무릎과 허리통증이 악화돼 휠체어나 지팡이에 의지해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교황은 이날 신임 추기경 21명에게 빨간색 사제 각모(비레타)와 추기경 반지를 수여한 뒤 "다양한 배경과 문화를 가진 분들"이라며 "형제애의 증인, 교감의 장인, 통합의 건설자가 돼 달라"고 요청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2013년 즉위한 이래 신임 추기경 서임을 위한 추기경 회의가 열린 것은 이번이 열 번째다.
추기경은 가톨릭교회에서 교황 다음으로 높은 성직자로, 80세 미만 추기경은 차기 교황을 선출하는 회의인 콘클라베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새 교황으로 선출되려면 콘클라베에서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10차례의 추기경 서임을 통해 콘클라베 투표권을 가진 추기경 중 약 80%를 직접 임명해 자신의 개혁을 이어 나갈 후계 구도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교황은 그동안 유럽보다는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출신 추기경의 비율을 늘리며 보다 포용적이고 보편적인 교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지금 뜨는 뉴스
외신은 교황청 통계를 인용,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출됐을 때는 50개국 미만의 추기경이 콘클라베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최소 67개국으로 확대됐다고 전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