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해제와 관련한 국무회의에 참여했냐, 언제 통보를 받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4일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 현안 간담회(F4 회의)를 마치고 나오며 '계엄령 선포 전 국무회의 참석 여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지 않았다. 금융위원장은 법적으로 국무위원이 아니지만, 주요 경제부처 수장으로서 국무회의에 배석하는 것이 관례다.
계엄 선포 과정의 절차적 정당성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무회의 개최 여부와 참석자 확인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김 위원장은 이날 공식 자료를 통해서만 "금융당국은 정책금융기관·금융 유관기관·금융협회들과 함께 금융시장의 불안 확산을 방지하고, 금융시장이 정상적,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처를 해 나갈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금융권에서는 계엄령 선포 직후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것을 우려해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는 24시간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하며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계엄령 선포와 같은 중대한 국가적 결정이 이뤄질 때는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라며 "금융위원장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했다면 시장 안정을 위한 대비책 마련에도 관여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