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중남미와 아프리카를 국외 산림탄소축적증진사업(이하 REDD+) 투자 대상국으로 확대했다.
산림청은 이달 11일~22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리는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한국의 REDD+ 투자 대상국에 중남미와 아프리카를 포함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20일 밝혔다.
총회에서는 유엔이 운영하는 시장에서 탄소 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파리협정(6.4조)의 국제탄소시장 운용 세부 지침이 합의됐다. 이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투자·시행한 사업으로 발생한 탄소감축량을 투자국가의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는 것을 의미한다.
세부 지침 합의에 따라 비용 경쟁력이 있는 REDD+ 대상지 확보에 국가 간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림청이 중남미와 아프리카를 REDD+ 대상국에 추가 포함한 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대목이다.
총회에 참석한 산림청 대표단은 국외 산림탄소권 확보를 위한 투자국 유치를 위해 바쿠 현지에서 부대행사를 열고 ▲열대림 탄소흡수 증진 ▲파리협정 제6조에 의한 협력적 접근방안 ▲한국 산림탄소시장 발전 방향 등 정책을 소개하면서 국제기구의 지지와 개발도상국의 참여를 요청했다.
이 결과 아프리카 열대우림지역 국가인 우간다와 내년 상반기 준 국가 수준의 투자의향서를 체결하기로 하는 등 투자 대상국을 중남미와 아프리카까지 확대할 수 있었다.
또 중남미 열대우림 국가인 온두라스·페루·파라과이가 탄소 배출권 투자 유망지역 각 2개소, 아프리카 서부 국가인 가나가 내수면 맹그로브 조림지역 2개소의 REDD+ 참여 의지를 밝혀 추가적 REDD+ 대상지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게 했다.
산림청 대표단은 총회에서 아지키예브 부베크(Azhikeev Boobek) 키르기스스탄 비상상태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중앙아시아 지역 산림복원과 산림재난 관리 그리고 종자보전 등 양국 간의 산림협력을 구체화하는 소기의 성과도 거뒀다.
지금 뜨는 뉴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산림청은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 ‘500만t 달성’을 목표로 REDD+ 대상지 추가 확보에 주력하는 중”이라며 “개발도상국 등 신규 협력 국가를 발굴하고, 국내기업의 안정적인 투자를 위해 정책적 기반을 더욱 탄탄하게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