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센터장 긴급진단]코스피 지지선 2250…실적·고배당으로 대응해야

시계아이콘04분 3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코스피 단기바닥, 2250~2350 예상
연말 단기 반등 가능할 것
트럼프 리스크·삼성전자 부진 영향

지난 13일 코스피는 2500선을 내준 지 하루 만에 2410선까지 밀렸다. 코스닥은 700선까지 미끄러졌다. 정부가 추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영향으로 2900선을 뚫을 기세였던 지수는 8월 초 폭락장을 겪은 뒤 2600선조차 회복하지 못했다. 현재 2400선을 간신히 사수 중이다. 국내 주요 리서치센터장들은 연말까지 코스피 저점을 2300 수준으로 예상했다. 코스피 반등 시점에 대해선 올해 말부터 내년 2분기까지 의견이 다양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정책 리스크가 완화되면 기술적 반등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수급이 돌아오기 전까지 저점 매수를 함부로 하지 말고, 실적이 좋은 기업을 가려내 적절히 분산 투자하거나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리스크 관리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센터장 긴급진단]코스피 지지선 2250…실적·고배당으로 대응해야
AD


연말에 짧은 반등 가능할 것…트럼프 리스크·삼성전자 실적이 관건

18일 아시아경제가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 KB증권, 토스증권, 현대차증권, IBK투자증권, IM 증권 등 국내 증권사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한 결과 코스피 저점은 2250~2350 수준으로 예상됐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연말 산타 랠리보다는 쉬어 가는 흐름을 예상한다"며 "미국 시장금리 상승에 의한 할인율 상승 압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에 대한 밸류에이션 압박, 트럼프 정책에 대한 기대와 우려 공존 등으로 미국 주식시장의 차익 시현 압력이 높은 가운데 미리 하락한 코스피 지수는 저가 매수 기회와 상승 모멘텀 부재가 공존하며 제한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영일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향후 우려되는 최악의 조건들을 선반영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투자심리와 수급이 극도로 위축된 상황이라 정확한 지수 하단은 예단하기 어렵고, 쏠림으로 인한 하회할(UnderShooting) 가능성도 감안해야 한다"며 "다만 시장에서 우려되는 여러 변수가 현실화하고, 경기 충격에 대한 극단적인 공포심리가 반영된 밸류에이션 수준을 고려하면 2400선 이하는 과거 위기 국면을 선반영한 딥 밸류(Deep Value) 구간이라고 생각한다"고 짚었다.


올해 1월 초 2669.81로 시작한 코스피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동력 삼아 지난 7월(11일) 2896.43까지 오르며 2900선에 바짝 다가섰다. 하지만 지난주(11~15일) 코스피는 한 주 동안 144.29포인트(5.63%) 급락하며 2416.86에 장을 닫았다. 전문가들은 단기간에 급격히 지수가 빠진 만큼 올해 내 반등이 가능하리라고 분석했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12월 중 짧은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봤으며 김영일 센터장은 11월 후반부에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오태동 센터장은 "단기간에 주식시장의 낙폭이 컸고, 최근 미국에서 트럼프 트레이드가 주춤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기술적 반등이 나올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고 예상했다.


실적과 수급 불안이 진정되고 트럼프로부터 비롯된 정치적 불안심리가 완화되면 연말에는 그간 급격히 하락한 부분을 되돌릴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투자분석부장은 "내년 2분기부터 2026년 회복 기대감이 반영되기 시작하면 저점을 확인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극단적 밸류에이션 저평가 및 낙폭 과대, 달러 강세 피크 아웃, 강경한 트럼프 예상 정책이 취임 이후 톤 다운되는 정책 순화가 나타나는 시기"라고 점쳤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도 단기적으로는 트럼프 트레이드가 충분히 반영됐다는 시장의 인식 이후 반등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미국의 신정부 인선 등이 확인되면서 트럼프 트레이딩 지속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며 "코스피는 상승은 못하더라도 박스권 하단은 지켜낼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의미 있는 반등은 아직 언급이 어렵다. 내년 상반기를 지나면서 관세에 대한 청사진이 확인되고 기존 우려보다는 충격이 덜 할 것 같다는 확인이 돼야 증시가 반등할 것으로 본다. 상반기 중 미국의 금리 동결, 부채 문제, 나스닥 고평가 논란도 해소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영곤 토스증권 리서치센터장도 "국내 대표 기업들의 경쟁력 약화 우려에 미국 우선주의 정책 불안감이 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했다. 이어 "단기 하락 폭이 과도한 상태로 현 지수대에선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다. 다만 국내 대표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어 투자심리가 회복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반등이 힘들 수도 있다. 기업 실적과 글로벌 경쟁력이 훼손되지 않았다는 것들이 확인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정책 변화에 반도체주·이차전지주 급락…원화 약세도 외국인 이탈 부추겨

국내 주식 시장이 약세를 보인 것은 트럼프 당선에 따른 관세와 정책 리스크, 외국인 투자자 수급 이탈, 삼성전자 부진 등 다양한 요인이 겹친 결과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국내 증시에선 미국 정책 변화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로 반도체주와 이차전지주가 급락했다.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따라 관련된 국내 종목들은 불안한 움직임을 보였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삼성전자 부진과 신뢰도 저하, 실적 전망 악화와 함께 트럼프 2기 정책 불확실성이 증시 부진을 불러왔다"며 "특히 공격적 관세 인상과 무역분쟁에 대한 우려가 공산품 대미 수출이 많은 한국에 부담으로 다가왔다"고 설명했다.


김영일 센터장은 "3분기 실적 부진으로 인한 코스피 2024년·2025년 연간 실적 전망 하향 조정,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채권금리·달러 상승, 교역 위축 우려와 반도체 급락이 맞물리며 글로벌 증시대비 차별적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삼성전자 업황·실적에 대한 불안이 증폭되면서 외국인 대량 매도가 집중됐다"고 짚었다.


특히 외국인 매도세가 거셌던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4년5개월 만에 '4만전자'로 추락했다가 하루 만에 5만원대를 가까스로 회복했다. 외국인들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4일까지 12거래일 연속 삼성전자를 순매도하며 '팔자세'를 이어갔다. 주가가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삼성전자는 대규모 자사주 매입 카드를 꺼냈다. 지난 15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향후 1년 이내에 분할 매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하반기 외국인 순매도(18조9000억원) 중 삼성전자의 순매도가 18조원"이라며 "기술적으로 낙폭과대로 보지만 삼성전자의 매출이 11년째 정체라는 가볍지 않은 문제가 앞을 가린다. 수급적으로 봤을 때 부양 조치가 발표되기 전까지 충격이 몇 차례 더 반복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오태동 센터장은 "최근 국내 주식 시장의 약세는 트럼프 당선에 따른 관세와 정책 리스크로 인한 외국인 투자자의 수급 이탈이 주된 원인"이라며 "또한 강달러와 함께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서는 등 원화 약세가 지속되고 있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주식 시장에서 이탈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이웅찬 연구원은 "코스피가 2400선을 못 버틴 것은 한국에 좋을 일이 없는 트럼프 당선이 가장 큰 이유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축소와 관세 부과 가능성이 가장 큰 악재로 작용했다"면서 "보조금 축소는 이차전지 급락으로, 관세 부과 가능성도 자동차 등 수출주 약세 및 원화 약세로 반영되고 있다. 여기에 올해 내내 지속됐던 삼성전자 하락 영향이 크다"고 했다.


외국인 매도세가 진정되려면 삼성전자 실적이 받쳐줘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오태동 센터장은 "반도체의 경쟁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진 시기에는 외국인 투자자의 수급은 삼성전자 실적 전망치와 동행하거나 이에 선행하는 경향이 존재한다"며 "인공지능(AI) 산업 모멘텀이 다시 부각되고, 삼성전자 실적 전망치가 개선되는 시점에 외국인 순매수 유입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다만 삼성전자 주가가 회복돼도 국내 증시의 주도주 자리를 되찾긴 어려워 보인다. 김동원 센터장은 "삼성전자는 현재 과매도 상태이며 삼성전자 주가 반등 시 코스피 전체 지수 하락을 마무리 지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다만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 업종이 다시 주도주로 복귀를 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봤다.

[센터장 긴급진단]코스피 지지선 2250…실적·고배당으로 대응해야

고배당·실적 양호한 기업 중심으로 대응…포트폴리오 다변화해야

증권가는 업종 대응에 대해 실적이 탄탄하면서도 트럼프 트레이드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 및 고배당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희찬 센터장은 "기본적으로 실적이 양호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투자해야 한다. 지금은 전력기기, 방산, 조선, 헬스케어가 대표적이다. 반도체에서는 SK하이닉스가 긍정적"이라고 했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방산 등 업종에서 매수로 접근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김동원 센터장도 "수급이 돌아오기 전까지는 단기적으로 고배당을 선호하고 실적장세의 마무리 국면을 거치면 이후 종목 버블장세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2021년 중반 개별주식 광풍과 유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센터장은 또 AI 규제 완화가 기대되는 자율주행 우주방산, 바이오, 원전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웅찬 연구원은 "미국의 관세를 피할 수 있는 미디어, 엔터, 게임, 헬스케어 또는 중국 부양책 관련 업종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면서도 "방산, 조선 등 트럼프 수혜주 중에서 최근 급등한 업종의 추가 매수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증시가 급락했다는 단편적인 이유만으로 매수하는 것은 위험하며 분산투자에 신경 써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박희찬 센터장은 "많이 떨어졌다고 저점 매수하는 전략은 위험해 보인다. 매수하더라도 실적이 좋은 기업들에 투자해야 한다"면서 "국내 비중만 높이기보다는 미국과 인도 등 해외 분산 투자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이영곤 센터장도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는 종목에 선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만약 포트폴리오가 국내 주식에만 집중돼 있다면 해외자산을 포함시키는 다변화 전략도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만약 시장이 단기간 내 반등한다고 할지라도 추세적 상승 여부에는 의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웅찬 연구원은 "지수가 더 빠지면 매수한다는 관점으로 분할 매수하면 적어도 손실은 나지 않을 것이라 본다. 특히 해외 주식으로 많은 이익이 났다면 차익실현하면서 환율에서도 이익을 보고 국내 투자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면서도 "다만 추세적 상승까지는 아니니 반등을 노리는 정도를 추천한다"고 했다.


AD

변준호 투자전략부장도 "단기 트레이딩 매수 영역으로 진입해 방망이를 짧게 잡고 저가 매수 전략을 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의미 있는 지수 상승은 내년 하반기 이후로 전망하며 중기적 관점에서 아직은 보수적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3.2508:29
    中 기술자립 집착과 집중 투자…韓에 보내는 경고⑥
    中 기술자립 집착과 집중 투자…韓에 보내는 경고⑥

    "중국 제조업의 한계는 분명하지만, 그 잠재력도 무시할 수 없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지금까지의 성과가 아니라 앞으로의 방향성이다." 중국 정부는 2015년 제조업을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로 ‘중국제조 2025’를 야심 차게 발표했다. 당시 중국은 신에너지 자동차(NEV), 반도체, 항공우주, 로봇, 인공지능(AI) 등 핵심 산업에서의 기술 자립과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명확히 했다. 약 10년이 지난

  • 25.03.2409:10
    中, 휴머노이드부터 드론까지 전방위 '로봇 굴기'⑤
    中, 휴머노이드부터 드론까지 전방위 '로봇 굴기'⑤

    중국이 첨단 제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국제조 2025' 전략의 최종 승부수로 로봇 산업을 낙점하고, 전방위적인 육성에 나서고 있다. 로봇의 핵심 부품 국산화부터 응용 분야 다변화까지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며 세계 기술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는 평가다. 中 휴머노이드 로봇, 글로벌 시장 주도 본격화중국은 '중국제조 2025' 계획에서 로봇 산업을 10대 중점 발전 산업 중 하나로 지정했다. 이후 13차, 14차 5개

  • 25.03.2108:10
    中 전기차, 점유율 60%…美·日·유럽 車패권 위협④
    中 전기차, 점유율 60%…美·日·유럽 車패권 위협④

    중국 전기차(EV) 산업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인다. 과거 내수 시장 중심으로 성장하던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이제 유럽, 동남아시아, 남미, 중동 등 전 세계로 세력을 확장하며 글로벌 전기차 패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떠올랐다. 비야디(BYD), 지리(Geely), 니오(NIO), 샤오펑(Xpeng) 등 중국 전기차 브랜드들은 가격 경쟁력, 배터리 기술, 자율주행 기술, 정부 지원 등을 바탕으로 기존 자동차 강국들과 본

  • 25.03.2008:11
    "美 탐내는 '조선업' 한국이 1위 아니었어?" 시장 주도하는 中③
    "美 탐내는 '조선업' 한국이 1위 아니었어?" 시장 주도하는 中③

    중국 조선업이 빠르게 성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을 앞지르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선, 컨테이너선,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등 다양한 선종에서 중국 조선소의 점유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중이다. 한국은 여전히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의 저가 공세와 빠른 기술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장기적으로 위협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제조 2025' 앞세운 중국 조선업, 한국과

  • 25.03.1907:59
    내수시장 발판 삼은 도약…높아지는 中 항공우주 경쟁력②
    내수시장 발판 삼은 도약…높아지는 中 항공우주 경쟁력②

    중국이 자체 개발한 중형 여객기 C919가 상업 운항을 시작하면서 글로벌 항공기 시장의 지형이 흔들리고 있다.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가 제작한 C919는 보잉 737과 에어버스 A320을 정조준한 모델로, 중국의 항공기 독립을 위한 상징적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여기에 중국은 독자적인 우주 개발까지 속도를 내며 항공우주 산업 전반에서 패권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中 항공기 기술, 완전 독립?…한계 여전 중국은 2008년부터

  • 25.03.1907:38
    ⑮1000큐비트 양자컴 전기 0.08㎿ 쓴다…기존 슈퍼컴의 1% 이하
    ⑮1000큐비트 양자컴 전기 0.08㎿ 쓴다…기존 슈퍼컴의 1% 이하

    인공지능(AI) 다음에 올 양자 기술의 시대에선 전기 수요가 더욱 커질까. 기존 슈퍼컴퓨터에 비해 전기를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 국내 연구진에 따르면 슈퍼컴퓨터보다 실질적인 우위를 나타내는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의 경우 전력 소모량이 슈퍼컴의 0.3~1.3%에 불과하다고 한다. 다만 양자컴이 폭발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분야가 아직 제한적이고 외부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홍창기 한국표

  • 25.03.1808:09
    ⑬수조안에 서버가 텀벙…액침냉각 데이센터 전기 37% 아낀다
    ⑬수조안에 서버가 텀벙…액침냉각 데이센터 전기 37% 아낀다

    '전기 먹는 하마'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 공급을 확대하고 송·배전망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기 소비 자체를 줄이는 일도 중요한 과제다. 미래 전기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AI 데이터센터 전력의 40%는 냉각에 쓰인다. 열관리만 잘해도 전기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얘기다. 데이터센터 열을 식히기 위해 최근 주목받는 방식은 액침 냉각 기술이다. 지금까지 사용해온 공랭, 수랭식과 달리 특수

  • 25.03.1808:01
    ⑬MS도 실패했던 수중 데이터센터, 현실로 만든다
    ⑬MS도 실패했던 수중 데이터센터, 현실로 만든다

    전력 소모가 많은 데이터센터를 차가운 바닷속에 넣자는 구상이 이어지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수중 데이터센터는 바닷물로 열을 식히기 때문에 육상 데이터센터 대비 전력 사용을 50% 이상 줄일 수 있다. 탄소 배출은 12% 감축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이미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와 중국에선 시도를 했고 우리나라도 국가 연구개발(R&D) 프로젝트로 진행 중이다. 수심 30m에서 사람이 한 달 동안 실제 체류하고 연구할 수

  • 25.03.1708:07
    ⑪'친환경·안정성' 다 갖춘 수소, AI 데이터센터 대안될까
    ⑪'친환경·안정성' 다 갖춘 수소, AI 데이터센터 대안될까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친환경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소를 이용한 AI 데이터센터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소연료전지 혹은 수소(암모니아) 발전을 이용하는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비싼 수소 가격에 따른 높은 발전 단가가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경북도는 지난해 12월 구미시, 구미하이테크에너지, 코람코자산운용과 AI 데이터센터

  • 25.03.1707:59
    '월 40억 버는 효자' 거대 태양광 패널…'햇볕 쨍쨍' 호남서 찾은 'AI 데이터센터 해뜰날'⑩
    '월 40억 버는 효자' 거대 태양광 패널…'햇볕 쨍쨍' 호남서 찾은 'AI 데이터센터 해뜰날'⑩

    지난달 24일 방문한 전남 해남군 솔라시도 재생산업단지. 전남 최대 규모의 태양광 산업단지인 이곳에는 성인 남성 두 명은 족히 누워있을 수 있는 크기의 태양광 패널이 25만장이 깔려 있다. 45만평 안팎의 넓이로 서울 여의도 면적의 절반가량이다. 주변을 한 바퀴 둘러보는 데만 1시간30분가량 걸린다. 태양광 패널 사이를 가로질러 안으로 더 들어가자 솔라시도 신재생에너지 운영센터가 나왔다. 운영센터에는 태양광의 실시간

  • 25.03.2507:00
    조성환 ISO 회장 "현대차 DNA는 목표 지향적 추진력"
    조성환 ISO 회장 "현대차 DNA는 목표 지향적 추진력"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3.1807:00
    '품생품사' 정몽구의 품질 경영…현대차, 글로벌 1위 '안전한 車' 초석
    '품생품사' 정몽구의 품질 경영…현대차, 글로벌 1위 '안전한 車' 초석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3.0108:00
    "美 수출 26만 3610대의 신화"…정주영이 허락한 1년, 역사를 바꾼 차 '포니'
    "美 수출 26만 3610대의 신화"…정주영이 허락한 1년, 역사를 바꾼 차 '포니'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2.2308:00
    한전 부지 인수, 그 후 10년…현대차 거버넌스 진단
    한전 부지 인수, 그 후 10년…현대차 거버넌스 진단

    2014년 현대차그룹은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본사 부지 입찰의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낙찰 가격은 무려 10조5500억원. 부지 감정가격의 3배에 달하는 그야말로 ‘통 큰 투자’였다. 현대차그룹은 이곳에 정몽구 명예회장의 숙원 사업인 통합 그룹 사옥을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동시에 삼성동 일대를 대한민국 랜드마크로 개발하고 스마트 시티를 표방하는 혁신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하지만 시장의 반응

  • 25.02.1815:09
    역대급 실적인데…현대차 주식 저평가 왜
    역대급 실적인데…현대차 주식 저평가 왜

    편집자주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던 혁신 비결을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예로부터 자동차 산업을 주도한 국가가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장악했습니다.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고용의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과거 현대차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였다면 이제는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first mover)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취재

  • 25.03.2616:50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국민의힘 의원이 26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최근 <AI 패권전쟁>(인문공간)을 발간하는 등 'AI 홍보맨'을 자처하는 김 전 의원은 각종 방송에 활발히 출연하며 정치 패널로도 활약하고 있다. 그에게 AI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정책적인 대전환을 주장하는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는 까닭 등에 대해 물었다. <AI 패권 전쟁> 내용은 무엇

  • 25.03.2508:59
    "머스크보다 코인 많은 북한"…김숙희·안다리엘 등 해킹으로 3조 탈취
    "머스크보다 코인 많은 북한"…김숙희·안다리엘 등 해킹으로 3조 탈취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의 양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보다 많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업체인 아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북한 해커 집단 라자루스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은 1만3441개로 집계됐다. 이는 테슬라가 보유한 1만1509개보다 약 2000개 이상 많은 수치다. 이를 현재 시세로 환산하면 11억4000만달러(약 1조7000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그동안 머스크 CEO가 세

  • 25.03.2308:30
    트럼프보다 무서운 극우정파…정권 사수위해 휴전 깬 이스라엘
    트럼프보다 무서운 극우정파…정권 사수위해 휴전 깬 이스라엘

    이스라엘이 하마스에 대한 공격을 2개월 만에 재개했다. 지난 1월 미국의 중재로 어렵게 성사된 휴전 협상이 무효화되면서 공습과 더불어 지상군 공격까지 재개된 상황이다. 심지어 유엔 직원까지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사망하는 사태가 벌어졌지만, 이스라엘은 아랑곳하지 않고 공격을 이어가고 있다. 이스라엘 측은 하마스가 이스라엘 인질들을 석방하지 않고 협상도 하지 않은 채 시간만 끌고 있다며 공격 재개의 책임을 하마스에

  • 25.03.2208:30
    英 노동당, 복지수당 혁파 논란…"복지병 치유시킬 것"
    英 노동당, 복지수당 혁파 논란…"복지병 치유시킬 것"

    영국 노동당 정권이 복지 수당을 대폭 삭감하겠다고 발표했다. 우리 돈으로 9조4000억원 정도를 삭감한다는 내용이다. 세계적인 진보 정당으로 꼽히는 영국 노동당에서 복지 예산을 이 정도 삭감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 영국 내부에서도 논란이 크다. 노동당 내부에서도 "너무 오른쪽으로 가는 것 아니냐", "우파 정책을 취하고 있는 것 아니냐"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번에 노동당 정부가 대규모 삭감을 발표한 수당은 '개인

  • 25.03.1808:00
    "죽는 것보단 점령 당하는게 낫다"…청년층 반대하는 유럽 징병제 부활
    "죽는 것보단 점령 당하는게 낫다"…청년층 반대하는 유럽 징병제 부활

    독일의 프리드리 메르츠 차기 총리가 징병제 부활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유럽 전역에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은 냉전이 종식된 1990년대 초반 이후 순차적으로 징병제를 폐지해왔으며, 현재는 9개국만이 징병제를 유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전 분위기로 접어드는 가운데 미국이 유럽 방위에 더 이상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자체 방위력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러시아와의 전력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