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 3.3㎡당 매매가 7746만원
강북·도봉은 2180만원
서초 입주 5년 내 신축단지 2574가구
강북·도봉 신축단지 아예 없어
서울 내 집값 양극화로 지역별 아파트 가격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3.3㎡당 아파트 매매가가 가장 높은 곳은 서초구로, 가장 낮은 강북·도봉구보다 집값이 약 3.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도봉구 등 지역은 신축 단지가 없어 서울 내 다른 지역과 가격 차이가 더 벌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축 단지 없는 강북·도봉구
28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기준(지난 18일까지 집계) 서울에서 3.3㎡당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초구(7746만원)다. 가격이 가장 낮은 강북·도봉구는 각각 2180만원으로 똑같았다. 서초구와 3.6배 차이가 났다. 서울 전 지역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는 4123만원이다.
'국민평형'(공급면적 114㎡·전용면적 84㎡)에 이 가격을 적용해보면 서초구와 강북·도봉구 집값은 19억원 이상 차이 난다. 서초구의 국민평형 아파트의 가격은 약 26억7589만원이고, 강북·도봉구는 7억5309만원이다.
양쪽 간 격차는 작년보다 더 커졌다. 서초구의 3.3㎡당 아파트 매매가격은 1년 전보다 올랐지만, 강북·도봉구는 떨어져서다. 서초구 아파트의 3.3㎡당 가격은 지난해 10월 7489만원이었는데 1년 새 257만원 올랐다. 반면 강북·도봉구는 1년 전 가격(강북구 2225만원, 도봉구 2184만원)보다 내려갔다.
강북·도봉구 같은 지역에는 신축 단지(입주 5년 이내)가 없는 게 양극화의 원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신축 아파트가 많을수록 평균 집값이 올라간다"고 말했다. 그는 "서초구 아파트의 3.3㎡당 가격이 7000만원~8000만원 사이인데, 새 아파트는 3.3㎡당 1억원을 넘긴다"라며 "신축 효과 덕에 입주 물량이 많더라도 집값은 뛰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기준 강북·도봉구는 이 같은 신축 단지가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봉구에는 준신축 단지(입주 6~10년 이내)도 없다. 강북구의 준신축 아파트는 총 524가구다. 이와 달리 서초구의 새 아파트는 2574가구이며, 준신축 단지는 5059가구다.
청약시장에서도 지역별 온도 차이가 난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분양 26건 중 서초구가 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와 달리 강북구와 도봉구에서는 분양한 단지가 없었다.
"재건축 안 되면 격차 더 커질 것"
전문가들은 이 같은 양극화가 더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서울에서 신축 아파트를 공급하는 방법은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하는 건데, 강북·도봉구의 정비사업은 쉽지 않다"라며 "이들 지역은 강남 지역보다 소득 수준이 낮은 편으로 주민들이 분담금을 내기 어려워 사업에 속도가 붙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재건축의 경우 서초구나 강북·도봉구나 건축비는 똑같다"라며 "문제는 같은 분담금이라도 이 규모가 서초구에서 기존 집값보다 훨씬 낮지만, 강북·도봉구에서는 집값과 맞먹는 수준이라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강북·도봉구에서는 서초구와 달리 정비사업 시 사업성이 떨어져 새 아파트가 나오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황한솔 경제만렙 리서치연구원은 "서초구와 달리 강북·도봉구에서는 분담금을 내고 재건축 사업을 진행해도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아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서울 아파트 3.3㎡당 매매가가 높은 곳은 서초구에 이어 강남구(7425만원), 송파구(5754만원)가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의 신축 단지는 각각 1만798가구, 2568가구다. 낮은 곳 순으로는 강북·도봉구 뒤로 금천구(2205만원), 중랑구(2434만원) 순이었다. 이들 지역에서도 입주 5년 이내의 아파트가 없다.
박승욱 기자 ty161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