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환자 단체 “피해 신고 늘어”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는 가운데, 안선영 한국중증질환연합회 이사는 “(집단휴진으로) 환자들의 피해사례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안 이사는 19일 KBS 전격시사에 출연해 “낙상으로 인한 골반 골절 환자가 있었는데 (집단휴진으로) 후속치료 연결이 안됐다. 요양병원으로 옮겨서 지내시다가 패혈증으로 사망한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외에도 항암치료 중 전이가 되면, 전이된 암을 신규로 받아들이고 전체적으로 보지 않아 피해가 발생한다는 제보도 있다. 피해 접수가 늘고 있다”고 했다.
그는 “항암치료 같은 중증 질환은 의사, 환자, 보호자 트라이앵글로 가야 한다. 응급실만 열어둔다고 해서 제대로된 치료를 받을 수 없다. 주치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이사는 “보호자 입장에선 환자한테 집중해도 힘들고, 환자도 힘든데 지금 열려 있는 병원을 찾고, 치료 가능한 곳을 찾으라고 하면 애가 타는 것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환자들의 입장은 이루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의료계에서 휴진을 하더라도 필수의료나 중증 환자 진료는 계속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런 말씀을 하는 분들은 의사가 아니라 행정가”라고 비판했다. 안 이사는 “암 치료중에도 다른 데로 전이가 되는 케이스가 적지 않다. 응급실만 열어둔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고 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의정갈등이 넉달째 지속되는 동안 환자 피해가 커지고 있다며 정부가 엄정 대응을 해야 한다고도 했다. 안 이사는 “면허취소, 중지, 구상권 청구 등 발언만 있지 실제로 벌어진 일이 아니다. 환자협회 입장에선 번복이 가능한 면허 중지가 아니라 취소를 시켜, 원칙대로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