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행당7구역 '공사비 갈등' 풀었다…시 검증 통해 282억 증액 합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우건설 증액 요청액 53% 수준
SH공사, "108억, 증액 사유 없다" 판단
신반포22차도 검증 중, 8월 마무리

공사비 증액 문제로 시공사와 갈등을 빚던 서울 성동구 ‘행당7구역 재개발사업(라체르보 푸르지오 써밋)’이 서울시 공사비 검증을 통해 282억원 증액에 최종 합의했다.

행당7구역 '공사비 갈등' 풀었다…시 검증 통해 282억 증액 합의 서울 성동구 ‘행당7구역 재개발사업(라체르보 푸르지오 써밋)’ 조감도
AD

16일 시에 따르면 왕십리역 인근 행당7구역은 시공사인 대우건설이 설계변경, 물가상승 등을 이유로 공사비 526억원(설계변경 280억원, 물가변동 246억원) 증액을 요구했으나 조합이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갈등을 계속해왔다. 이에 시는 지난 2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에 이 사업에 대한 공사비 검증을 요청했다.


검증 결과, 조합과 시공사는 요청액의 53% 수준인 282억원을 증액하는 데 합의했다. SH공사는 시공사가 제시한 설계변경 280억원 중 108억원에 대해 증액 사유가 없다고 판단했다. 물가변동 246억원에 대해서는 공사도급계약서상 ‘물가변동 배제특약’에 따라 검증에서는 제외했지만, 자재비 등 이례적인 공사비 상승을 고려해 합리적인 타협안을 제안해 양측 합의를 이끌어냈다.


SH공사는 이 과정에서 제출서류를 간소화해 신속하게 검증하고, 검토 사항을 지속적으로 조합, 시공사와 공유해 신뢰도를 높였다.


시는 조합과 시공사 간 공사비 분쟁 해결을 위해 지난해 3월 ‘서울시 정비사업 공사계약 종합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SH공사가 공사비 검증 업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SH공사는 지난해 10월 공사비 검증 전담 부서인 공사비검증부를 설치했다. SH공사는 잦은 설계변경을 지양하고, 고가의 수입 자재보다 적정 가격에 품질이 우수한 자재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22차 재건축 단지’에 대한 공사비 검증도 이뤄지고 있다. 결과는 오는 8월 중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이 밖에도 ‘서울형 표준계약서’, ‘전문가 사전컨설팅 제도’,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파견’ 등을 통해 공사비 분쟁 최소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공사비 검증을 통해 행당7구역의 조합과 시공사 간의 긍정적 합의를 이끌어낸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며 “SH공사의 풍부한 경험과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공사비 검증제도를 본격화해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사비로 인한 갈등 해결을 위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현지 기자 hj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