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이 연초 임직원에게 지급하는 성과급 규모가 업황과 실적에 따라 엇갈리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 임직원에게 기본급(연봉의 20분의 1)의 445∼665%에 해당하는 경영성과급을 지급하기로 했다. 3년 연속 최대 매출을 달성한 데 대한 보상이다. H&A사업본부는 작년 매출액 30조1395억원을 기록해 경쟁사인 미국 월풀을 제치고 글로벌 가전 1위를 확실시했다.
최고 수준인 665% 지급률은 세탁기 글로벌 1등 지위를 굳히며 최대 매출에 기여한 리빙솔루션사업부에 책정됐다.
전장(차량용 전기·전자장비)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에는 기본급의 455%가 경영성과급으로 지급된다. 지난해 VS사업본부는 출범 10년 만에 매출액 10조원을 돌파했다.
다른 사업 부문의 성과급 지급률은 TV 사업을 하는 HE사업본부 200∼300%, 기업간거래(B2B)를 담당하는 BS사업본부 135∼185% 등이다.
SK하이닉스는 반기별로 지급하는 인센티브인 생산성 격려금(PI)과 별개로 구성원에게 1인당 자사주 15주와 격려금 2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반도체 불황 국면에서 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기업 가치 상승을 이끈 데 따른 감사의 표시다.
반면 반도체 업황 악화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직원들이 받는 성과급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DS 부문은 그간 거의 매년 초에 연봉의 50%가량이 성과급으로 나왔으나, 지난해 반도체 업황 부진에 창사 이래 최대 적자를 내면서 성과급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삼성전자 다른 사업부의 초과이익성과급(OPI) 예상 지급률은 모바일경험(MX)사업부 46∼50%, 삼성디스플레이 46∼49%,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 39∼43%, 생활가전(DA) 사업부와 네트워크사업부 각각 10∼12% 등이다.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