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루천자]박일환의 '의성의태어의 발견'<3>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하루천자]박일환의 '의성의태어의 발견'<3>
AD
편집자주우리말에 의성의태어가 많은 까닭은 모음과 자음의 변화를 통해 형태가 다양한 계열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가뭇가뭇’에서 모음을 바꾸면 ‘거뭇거뭇’이 되고, ‘거뭇거뭇’에서 자음을 바꾸면 ‘꺼뭇꺼뭇’이 되는 식이다. ‘빈둥빈둥’이 ‘반둥반둥’과 ‘밴둥밴둥’, ‘번둥번둥’을 불러오고, 나아가 ‘삔둥삔둥’, ‘빤둥빤둥’, ‘뺀둥뺀둥’, ‘뻔둥뻔둥’, ‘핀둥핀둥’, ‘판둥판둥’, ‘팬둥팬둥’, ‘펀둥펀둥’까지 가지를 쳐나가는 걸 보면 경이로운 느낌이 든다. 이처럼 어감의 미묘한 차이를 드러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우리말이 지닌 의성의태어의 장점이다. 오늘은 ‘부랴부랴’와 ‘부랴사랴’의 뜻과 어원에 대해 알아본다. 글자 수 950자.

집에 강도가 들었을 때 “강도야!”라고 소리치면 이웃집에서 아무도 안 나오지만 “불이야!”라고 소리치면 너도나도 나온다는 말이 있다. 강도가 들면 그 집만 피해를 당할 뿐이지만 불이 나면 이웃집으로 옮겨 붙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불이 나면 혼자 힘으로는 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자신의 집에 불이 났거나 불이 난 현장을 목격한 사람이라면 황급히 뛰어다니면서 불이 난 것을 알리고 사람들을 불러 모은다. 그럴 때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불이야! 불이야!” 하는 다급한 외침이다. 이 외침이 줄어서 다음과 같은 말이 되었다.

[하루천자]박일환의 '의성의태어의 발견'<3>

부랴부랴: 매우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


불은 초기에 잡지 못하면 삽시간에 번지기 마련이다. 촌각을 다투어야 하는 상황에서 어슬렁거리거나 느긋한 태도를 보일 수는 없는 일이다. ‘불이야 불이야’가 줄어서 ‘부랴부랴’가 됐지만 지금은 그런 어원 의식이 희미해졌다. 아울러 ‘불이야 불이야’는 다급하게 외치는 소리를 옮겨 적은 말이지만 ‘부랴부랴’는 의성어가 아닌 의태어 역할을 한다. 뜻풀이에서 보듯 소리가 아니라 서두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랴부랴’는 흔히 쓰는 표현이라 익숙하지만, 비슷한 뜻을 가진 ‘부랴사랴’는 사용 빈도수가 많지 않다.


부랴사랴: 매우 부산하고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


‘부랴부랴’와 형태는 물론이거니와 말이 발생한 경로도 비슷하다. ‘불이야 살이야’라고 소리치는 걸 줄여서 만든 말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살’은 ‘화살’을 뜻한다. 불이 나면 다급해질 수밖에 없지만 화살이 날아오는 상황도 마찬가지이며, 화살이 날아오는 속도는 불이 번져 오는 속도에 비할 바가 아니다. 그러니 얼마나 다급한 상황이겠는가. 화살이 날아가는 속도에 빗댄 말이 ‘쏜살같이’라는 부사다. 쏜 화살처럼 빠르다는 말인데, 시대가 변하면서 화살보다 빠른 총이 등장하자 ‘총알같이’라는 표현이 새로 나와서 쓰이고 있는 중이다.



-박일환, <의성의태어의 발견>, 사람in, 1만7000원

[하루천자]박일환의 '의성의태어의 발견'<3>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