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범죄자들을 위한 나라냐" n번방 '와치맨' 3년6개월 구형에 국민 공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검찰, n번방 前운영자 '와치맨'에 징역 3년6개월 구형
국민들 "피해자 고려하지 않은 것" 분통

"범죄자들을 위한 나라냐" n번방 '와치맨' 3년6개월 구형에 국민 공분 n번방 성착취 강력처벌 촉구 시위' 포스터/사진=트위터 'n번방 성착취 강력처벌 촉구 시위' 계정 캡처
AD


[아시아경제 김가연 기자] 미성년자 등 여성을 협박해 성 착취물을 만들고, 해당 영상 등을 유포한 텔레그램 대화방인 'n번방' 전 운영자 '와치맨'에 대해 검찰이 징역 3년6개월을 구형했다. 이 소식을 접한 시민들은 "피해자들은 생각하지도 않은, 가해자 중심의 구형"이라며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24일 수사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19일 수원지법 형사9단독(박민 판사) 심리로 열린 결심공판에서 수원지검은 텔레그램 닉네임 '와치맨'으로 알려진 전 모(38) 씨에 대해 징역 3년6개월을 구형했다.


앞서 전 씨는 공중화장실에서 여성을 불법 촬영한 영상 등을 게시한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한 혐의로 지난 10월 재판에 넘겨졌다. 또 전 씨는 재판 중 아동·청소년이 나오는 영상 등 불법 성 착취물 9000여 건을 n번방을 통해 유포한 혐의를 받아 지난달 추가 기소됐다.


전 씨는 지난해 11월부터 이달까지 3차례 진행된 재판 과정서 총 12차례 반성문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 씨에 대한 선고는 내달 9일 내려진다.


시민들은 이같은 소식에 대해 "대통령 지시에도 사법부는 가해자 편을 들고 있다", "성착취·불법촬영물 9000여 건을 유포했는데 고작 3년6개월이 말이 되냐" 등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직장인 A(28) 씨는 "검찰 구형이 3년6개월이라는 건 감형돼 그보다 더 적은 형을 선고받을 수 있다는 것 아니냐"며 "성착취물을 거의 1만 건을 불법 유포했는데 어떻게 저런 형량을 구형할 수 있냐"면서 목소리를 높였다.


A 씨는 "검찰은 피해자가 보호받을 권리는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런 구형을 할 리 없다"면서 "대체 사법부의 존재 의미가 무엇이냐"고 반문했다.


"범죄자들을 위한 나라냐" n번방 '와치맨' 3년6개월 구형에 국민 공분 사진=연합뉴스


대학생 B(24) 씨 또한 "그냥 불법 촬영물도 강력하게 처벌해야 하는데, n번방 사건은 심지어 미성년자를 협박하고 착취한 사건이다"라면서 "기본적으로 아동·청소년에 대한 성범죄는 더더욱 강한 처벌을 내려야 하는 것 아니냐. 이런 가벼운 형량은 예비 성범죄자들에게 길을 열어주는 것일 뿐이다"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밖에도 시민들은 포털사이트 댓글 및 SNS 등을 통해 "이 정도면 법조계도 공범이다. 불법을 조장·동조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 "범죄자들이 살기 좋은 나라다", "징역 몇십 년도 모자라는데 3년6개월이 말이 되냐", "피해자는 그 고통이 평생 가는데 고작 4년도 안 되는 구형이라니" 등 반응을 보였다.


앞서 검찰 내 성폭력 문제를 폭로한 서지현 검사는 지난 21일 n번방 사건과 관련해 성범죄 근절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솜방망이식 처벌을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서 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일베, 소라넷 등에서 유사범죄들이 자행됐지만, 누가 제대로 처벌받았나"라며 "나는 너무나 당연히 '예견된 범죄'였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미투, 버닝썬, 화장실 몰카 등 여성 이슈 신경 쓰면 남성들 표 떨어진다고 외면한 자들은 누구였나. 나, 내 가족만 피해자나 가해자가 아니면 된다고 외면한 이들은 누구였나"라면서 "n번방 사건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우리는, 우리 아이들은 정말 제대로 된 '지옥'에서 살게 될 것이다. 지금이 정말 '국가위기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가연 기자 katekim2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