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북한 미사일 발사를 대비한 대피훈련 규모가 더욱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전국순간경보시스템(J-Alert)' 구축에 이어 전국 지자체에서 지난 3월부터 대피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나 핵 공격과 관련한 어떠한 대피훈련도 실시하고 있지 않아 안보불감이 심화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6일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날 시마네(島根)현의 오키(隱岐)제도에서 주민 2000명을 대상으로 미사일 발사를 상정한 대피훈련을 진행했다. 일본 정부와 지자체들은 지난 3월 이후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비한 대피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북한이 일본 열도 상공을 통과하는 미사일을 발사한 뒤 특히 많이 열리고 있다. 지난달 30일에는 이시카와(石川)현이, 이달 1일에는 홋카이도, 아오모리, 후쿠오카(福岡) 등 3개현에서 같은 훈련이 실시됐다.
일본은 이런 대피훈련 뿐만 아니라 전국순간경보시스템을 이용해 북한의 미사일 공격을 실시간으로 전파하고 있다. 'J-Alert'이라 불리는 이 시스템은 지난 2007년부터 구축됐으며 인공위성을 기반으로 한 경보시스템이다. 북한의 미사일 공격을 비롯해 각종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중앙방송은 물론 지역방송을 통해 텔레비전, 라디오로 소식을 알린다. 이와 함께 각 지역별 공공스피커를 통해 14초간 사이렌을 울린다. 각 시민들에게 이메일과 문자메시지도 2초 내로 전송된다.
일본 정부는 미사일이 떨어질 경우 실외에 있으면 튼튼한 건물과 지하상가, 지하역사 등 지하시설로 대피하고 건물이 없으면 입과 코를 손수건으로 덮을 것을 당부하고 있다. 또 실내에 있으면 창으로부터 떨어지거나 창이 없는 방으로 이동하라고 안내한다. 지자체를 비롯해 주민들의 참여도 적극적이라 훈련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비해 정작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당사국인 한국은 안보불감증이 지속된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달 23일, 유사시 공습상황을 가정한 민방공 대피훈련이 있었으나 상황통제는 거의 되지 않았다. 공습경보가 울려도 차량소음과 음악소리에 묻혔고 형식적인 훈련에 그쳤다. 그나마 이 민방공 대피훈련도 올해 처음 실시된 전국적 규모의 민방위 훈련이었다.
심지어 을지훈련과 연계한 훈련이기도 했지만 시민들의 무관심은 여전했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전국 지하철역과 지하주차장, 대형건물 지하실 등 대피소 1만8000여 곳을 선정했지만 제대로 정보전달이 이뤄졌는지는 미지수다. 집이나 회사 주변 대피소는 정부 애플리케이션인 ‘안전디딤돌’과 국민재난안전포털(safekorea.go.kr)에서 확인 가능하지만 시민들의 참여율은 높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법을 통해 민방위훈련의 강제화를 추진해야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