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적 조사해도 어느 정도 악영향 결론 내리기 힘들어"
"환경호르몬 노출에 따라 인체가 받는 영향 밝히기 불가능"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시중에 나와 있던 일회용 생리대를 대대적으로 독성 연구를 한다고 하더라도 특정 생리대가 여성의 생식 건강에 어느 정도 악영향을 미쳤는지 결론을 내리기 힘들다는 주장이 나왔다.
4일 환경호르몬 대체물질 개발사업단·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한국식품건강소통학회의 공동 주최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주제 발표를 맡은 이덕희 경북대 의대 교수(예방의학)는 "최근 '릴리안'의 부작용으로 언급된 생리불순·다낭성 난소증후군·자궁근종 등은 산부인과 영역에서 흔한 질환으로, 매년 증가 추세"라며 "생리대에 함유된 일부 합성화학물질이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해 여성호르몬의 균형을 깨뜨릴 순 있지만 환경호르몬 노출에 따라 인체가 받는 영향을 정확하게 밝히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또 정부가 시판 생리대에 포함된 합성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을 규제하고 생리대의 모든 성분을 제품에 표시하도록 의무화해도 생리대의 안전성을 100% 보장하긴 힘들다고 봤다. 역학조사를 벌여도 정확한 원인과 여성이 사용해선 안 되는 생리용품을 지목하지 못할 가능성이 훨씬 크다는 것이다.
다만 이 교수는 "여성의 자궁은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받기 쉬운 장기"이며 "특정 생리대 사용 후 생리불순을 바로 감지했다면 해당 생리대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다른 생리대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 전문가가 생리대에 함유된 환경호르몬으로 지목한 스티렌에 대해서도 계명찬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다른 견해를 보였다. 스티렌을 환경호르몬으로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생리대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독성물질과 생리불순 등 여성의 이상 증상 사이의 상관성(인과관계)을 밝히려면 문제된 생리대를 사용한 여성의 성(性)호르몬과 생식기능을 조절하는 다른 호르몬의 수준이 독성물질 비(非)노출 여성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하는 임상연구가 필요하다고 계 교수는 주장했다.
계 교수는 "이런 임상연구에 응할 여성은 없을 것"이라며 "동물실험 등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특정 제품(생리대)의 유해성 여부를 판정해야 하므로 어떤 독성 연구결과가 나와도 논란을 잠재우긴 힘들다"고 강조했다.
국내에선 1회용 라면 용기의 환경호르몬으로 널리 알려진 스티렌(모노머·다이머·트라이머)은 흡입·접촉·음식·용기 등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유입된다. 스티렌이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받게 된 것은 스티렌 생산 관련 공장 근로자의 혈중 프로락틴 농도가 일반인보다 훨씬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기 때문이다. 프로락틴 농도가 과다하면 생리주기 교란이나 무월경 증상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인 비스페놀 A(BPA)도 프로락틴 농도를 상승시킨다.
계 교수는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활 주변에서 노출되는 정도의 스티렌이 여성에게 생식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은 낮다"며 "다만 스티렌에 노출된 암컷에서 프로락틴이 상승했다는 연구논문도 나와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