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살충제 계란 파동]"곧 추석인데 가격 더 치솟을 판"…'계란값 쇼크' 오나(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살충제 계란 파동]"곧 추석인데 가격 더 치솟을 판"…'계란값 쇼크' 오나(종합)
AD


AI 마무리 이후 생산기반 회복 불구 노계ㆍ병아리 비율 높아
"유통업자들 은밀한 가격조정 더 심해질 것" 우려도
추석 앞두고 계란 가격 더욱 치솟을 듯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고공행진 하고 있는 계란값이 살충제 파문까지 겹치면서 더욱 치솟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추석 성수기를 한 달여 앞두고 계란 수급에 비상이 걸리면서 가격 상승을 더욱 부채질할 가능성이 커졌다.


15일 정부 및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농협하나로마트 등 국내 대형마트 와 롯데슈퍼,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이마트에브리데이 등 수퍼마켓, 창고형 할인마켓(빅마켓, 트레이더스 등), CU, GS25,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등 주요 유통채널이 계란 판매를 중단했다. 온라인 오픈마켓인 11번가, 쿠팡, 위메프 등 이커머스 업체들도 신속히 판매를 중단하고 나섰다.

공급량 대폭 축소로 인해 달걀 가격 상승 곡선의 기울기는 더욱 가팔라질 수밖에 없다. AI로 급등한 달걀값이 더욱 오를 것으로 점쳐진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14일 기준 달걀 평균 소매가(중품 30개들이 특란)는 7595원으로 평년 가격(5552원)보다 36.8% 높다. 평년가는 올해를 제외한 최근 5년 간 해당 일자의 평균값이다. 1년 전 가격(5350원)보다는 42.0% 비싸졌다.


AI 확산세가 한창이던 지난 1월 9000원대까지 올랐던 것에 비하면 많이 내린 셈이나 각종 정책 노력에도 기대만큼 가격 안정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서울 지역 소규모 슈퍼마켓과 대형마트 등 일선 소매점에서는 달걀 30개들이 한 판 가격이 1만원대인 곳도 적지 않았다.


달걀 생산 기반의 정상화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산란계 수는 AI 발생 직전 6900만 마리였는데 지금은 약 6600만~6700만마리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산란율이 떨어지는 노계와 입식한 지 얼마 안 된 병아리의 비율이 높아 계란 생산량 자체는 AI 이전과 비교할 때 하루 평균 1000만개 이상 적다고 농가들은 설명한다.


일각에선 여름철 수요 감소와 산지가 하락 등으로 달걀 소매가 인하 요인이 발생했는데도 일부 생산업자와 유통업자들이 혼란기 잇속을 챙기기 위해 시세보다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어 달걀값 하락세가 더디다는 지적도 나온다. 설상가상으로 살충제 리스크가 합세해 이런 시장 사각지대는 더욱 넓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추석 성수기를 한 달여 앞두고 있는 점도 계란 가격상승을 더욱 부채질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한편 정부는 이날 0시부로 전국 모든 3000마리 이상 규모 농가에서 생산되는 달걀 출하를 전격 중단시켰다. 해당 농장들을 대상으로 3일 이내에 전수검사를 실시한다. 이어 검사에서 이상이 없다고 확인된 달걀만 출하를 허용할 계획이다.


불합격 농가가 나올 경우 검사ㆍ유통 정보를 조속히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통보, 유통 중인 부적합 달걀이 즉시 수거되도록 할 예정이다.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관계기관 회의 모두 발언에서 "오늘(15일) 중 20만 수 이상 대규모 산란계 사육농장에 대해서 전수 조사를 신속히 마무리하겠다"며 "이를 통해 내일(16일)부터 평상시 계란 물량의 25% 정도가 유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