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론화위 참관허용", "팩트체크위 구성"…신고리 찬반 양측 팽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공론화위 참관허용", "팩트체크위 구성"…신고리 찬반 양측 팽팽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지난 24일 첫 회의를 열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이냐 재개냐를 두고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양쪽 이해관계자 간담회를 시작했지만, 여론수렴 방법 등에서부터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건설 중단을 주장하는 측은 공론화위 참관 허용과 협의채널 공식화를 요구한 반면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측은 '팩트체크위원회' 구성과 지역주민의 시민배심원단 참여를 요구하고 나섰다.


13일 신고리공론화위에 따르면 공론화위는 지난 10일과 11일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시민단체, 건설 재개를 요구하는 전문가협회 등과 잇달아 간담회를 가졌다.

지난 10일 건설 중단을 주장하는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과의 간담회에서는 공론화위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공론화 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 참여방안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조현철 녹색연합 상임대표,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 등이 참석한 시민행동 측은 ▲공론화 과정에서 찬반 이해관계자들의 협의채널의 공식화 및 정례화 ▲공론화위의 회의공개 및 참관 허용 등을 요구했다.

다음날인 지난 11일에는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한국원자력산업회의'와 '한국원자력학회' 등과 간담회가 진행됐다. 간담회에는 강재열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상근부회장, 임채영 한국원자력학회 총무이사, 한장희 한국수력원자력 지역상생처장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공론화위원회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은 물론 공론화의 논의주제 범위, 숙의절차와 방법, 시민참여단의 선발 및 운영 등 공론화 과정 전반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건설재개 대표측은 ▲공론화 과정에서 제기되는 주요 사실 관계의 확인을 위해 '팩트체크위원회'를 구성·운영해 줄 것 ▲공론화위원회와 시민참여단이 원전건설 현장을 방문해 줄 것 ▲시민참여단에 지역주민을 일정 부분 포함시켜줄 것 ▲시민참여단을 상대로 한 다수의 전문가 토론회 개최 등을 요청했다.


공론화위는 양쪽 요청사항에 대해 위원회 내부적으로 충분한 논의와 검토를 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이와 함께 앞으로 공론화 설계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만나 서로의 입장을 조율하기로 했다.


공론화위 관계자는 "이번 대표단체들과의 간담회에 이어 신고리 5·6호기 건설 지역주민과 관련업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도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통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