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특보 민감한 발언에 곤혹
홍석현 전 회장은 특사 제안 고사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특보정치'가 도마에 올랐다. 문 대통령의 1호 특보인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가 임명 직후부터 새 정부와 조율되지 않은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어서다. 문 특보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에서 한 민감한 발언들이 거센 파장을 낳으면서 청와대가 딜레마에 빠졌다.
문 대통령은 취임 이후 각 분야에 필요한 특보를 다수 임명해 국정운영의 조언을 구하겠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특보는 비상근 무보수 명예직"이라며 "국정 상황에 따라 대통령께서 필요하면 여러 분야에서 많은 분들을 언제든 모실 수 있다"고 말했다. 이후 지난달 21일 문 특보와 홍석현 전 중앙일보·jtbc 회장을 임명했다.
문재인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으로 거론되기도 했던 문 특보는 지난달 "5·24조치 해제" 등의 발언으로 구설에 오른 전력이 있다. 청와대는 논란을 의식해 문 특보에게 언론인터뷰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문 특보의 방미 발언에 대해서도 개인적인 의견이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문 특보와 함께 특보로 임명된 홍 전 회장의 거취도 불분명하다. 홍 전 회장은 특보직을 고사했으나, 청와대는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9일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홍 전 회장이 특보직을 고사하겠다는 뜻은 밝혔지만 아직 특보가 해촉되거나 그런 것은 아니고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앙일보는 이날 신문에서 '중앙미디어네트워크'명의로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 지명 발표 당일인 2017년 5월21일 홍석현 전 회장이 미국 특사 활동을 마치고 귀국하는 자리에서 '처음 듣는 말이며 당혹스럽다'고 밝힌 바 있다. 곧이어 특보직을 고사하겠다는 의견을 청와대에 전달했고, 청와대도 이를 받아들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특보정치'는 과거 정권에서도 있었다. 주로 정권이 위기를 맞을 때 정국 타개용으로 특보단 임명이 이뤄졌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8년 광우병 파동 이후 특보제도를 신설, 김덕룡 국민통합특보를 임명했다. 2010년 지방선거 패배 이후에는 박형준 사회특보, 이동관 언론특보가 임명돼 역할을 맡기도 했다.
노무현 정부 때도 집권 4년차 레임덕을 극복하기 위해 특보단을 구성했다. 이해찬 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정무특보,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은 정책특보에 임명됐다. 문 대통령도 이 때 정무특보에 임명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 역시 집권 3년차 정윤회 문건 파문이 터지자 윤상현 자유한국당 의원 등 측근들을 특보에 임명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