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토론회서 언급…예산·기능 유지 기대감
"중기벤처부 이관시 힘 얻을수도"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박근혜 정부가 주도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명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 새 정부가 들어서면 전 정부 '흔적 지우기' 작업에 나서는 만큼 창조경제센터 역시 와해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만 새 정부가 벤처 육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간판만 바뀌고 기능은 더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대선후보 토론회'에 나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언급한 바 있다. 당시 문 후보는 "창조경제를 통해 벤처기업수를 늘린 것, 창업이 많이 늘어난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견해를 밝혔다. 그는 오히려 정부의 지원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문 후보는 "창업지원이 인큐베이팅으로 끝나면 안 되고 그 이후까지 창업을 지원해야 한다"며 "자생력을 갖지 못하니까 마케팅과 금융 열세 때문에 문 닫는 기업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후보는 "정부가 벤처기업에 금융지원을 해주거나 물건을 구매해주는 방법, 마케팅을 지원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국무총리 내정자인 이낙연 후보자 역시 최근 "잘되고 있는 부분은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 정권 사업이라고 무조건 없앤다는 방침은 없다고 지시한 것이다. 창조경제센터가 일부 명칭 변경과 소속, 기능 등을 조정해 계승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이낙연 후보자는 박근혜 정부 시절 전남도지사를 하면서 창조경제센터 개소에 참여하기도 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 같은 발언에 따라 문재인 정부는 창조경제센터를 폐지하기 보다 조직을 통폐합해 운영을 지속하는 방안에 무게를 둘 것으로 전망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신설될 중소벤처기업부 산하로 이관될 경우 역할이 더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전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이지만 창업을 확대하고 벤처기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새 정부도 공감하고 있을 것"이라며 "벤처기업 지원하고 양성하는 기능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4년 9월부터 만들어진 이후 올 1월까지 창업기업 1713개, 신규채용 2547명을 창출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