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제재 원톱에서 투톱으로‥트럼프 '쌩큐 중국' 작전 먹혔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53초

[아시아경제 뉴욕 김근철 특파원, 조목인 기자] 25일 북한 인민군 창건 기념일을 맞아 한반도의 긴장이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다. 미국은 국제 공조를 통한 북핵 해법 찾기에 나섰지만 중국은 미국과 북한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경계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국제 공조 모색하는 미국=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과 제재를 적극 주도하고 있다. 독불장군식 단독 플레이보다는 국제공조를 통한 북핵 해법에 눈을 뜬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유엔(UN)안보리 이사국 대사들과 만나 "(북한 문제는) 이미 세계에 실질적인 위협이고, 최대 문제"라면서 "우리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고 강조하며 안보리 차원의 대응을 강조했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날 오찬 회동 후 브리핑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시리아 문제에 대해 어떤 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고, 또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것을 지속하지 않을 것인지 등에 대해 대사들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허심탄회한 대화가 있었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관계를 밀착시키며 중국을 통한 대북 제재에 공을 들여왔다. 처음엔 '중국이 먼저 해결하라'식의 강압적 자세였지만 이제는 중국과 미국이 힘을 합쳐 북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쪽으로 변화를 주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잦은 전화 통화를 통한 동맹 다지기도 병행하고 있다. 미국이 혼자 주도하기보다는 국제사회의 단결된 힘으로 북한을 굴복시키겠다는 셈법이다.


대북 압박을 위한 국제 공조의 선봉에 나서고 있는 헤일리 대사는 연일 강경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헤일리 대사는 이날 미국의 NBC, CBS방송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 북한이 6차 핵실험 등 도발을 감행한다면 미국이 이에 맞서 군사적 타격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헤일리 대사는 북한이 핵 또는 미사일 도발을 감행할 경우의 미국 측 대응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그렇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개입해 어떻게 할지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백악관은 26일에는 상원의원 100명 전원을 백악관으로 초청, 트럼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비공개 합동브리핑을 할 예정이다. 이날 브리핑에는 틸러슨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조지프 던포드 합참의장, 댄 코츠 국가정보국(DNI) 국장 등 외교ㆍ안보 수장들이 참석해 북핵을 둘러싼 위기 상황과 새로운 대북 정책에 대해 설명하게 된다.


◆中, 유사시 가정 전비 태세=북한이 25일 인민군 창건 기념일을 맞아 도발을 단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중국군이 한반도 유사시를 상정해 북ㆍ중 국경지역 경계수위를 임전 태세 수준으로 강화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홍콩에 기반한 중국인권민운정보센터에 따르면 중국군은 미국과 북한 간 전쟁 발발에 대비하기 위해 이날 새벽부터 북ㆍ중 국경지역을 관할하는 북부 전구(戰區)에 가장 높은 '1급 전비(戰備) 태세'를 발령했다. 홍콩 동망(東網)은 북부전구 소속 20만명의 병력이 이날 새벽부터 긴급출동이 가능하도록 상시 대기 상태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앞서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도 복수의 중국 소식통의 말을 인용,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이 커진 지난 15일부터 임전 태세 다음 단계인 '2급 전비 태세'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신문은 또 북ㆍ중 국경 지역에 10만명의 병력이 전개되고 있다는 정보가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군의 전비 태세 3단계 중 2급 태세는 중국이 자국에 대한 직접적 군사 위협이 일정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될 경우 발령되며 무기ㆍ장비 준비와 부대원의 외출금지, 당직 태세 강화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주변국과의 긴장이 높아지면 중국군은 우선 '3급 태세'에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번에 중국 정부가 경계 레벨을 한 번에 2급으로 높인 것은 그만큼 미국과 북한의 군사 충돌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요미우리는 중국이 국경에 병력을 전개하는 것은 김정은 북한 정권의 붕괴로 대규모 난민이 유입될 사태에도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조목인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