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경기도 부천시가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문학도시)에 도전한다. 동아시아 최초의 문학 창의도시에 선정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2004년부터 유네스코가 세계 각국 도시를 심사해 지정하는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는 각국 도시 간 연대를 통해 경제·사회·문화적 발전을 장려하는 국제 네트워크다.
시는 지난해 12월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문학 도시) 가입을 위한 첫 관문인 국내 심사를 통과했다.
오는 6월 국제심사를 시작으로 유네스코 본부 심사와 이미 가입된 20개 유네스코 문학 도시의 동료 평가를 거쳐 올해 10월 가입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부천은 1960년대 전원도시에서 1970~80년대 공업도시로, 1990년대 이후 문화예술의 도시로 성장해왔다. 만화·영화·음악 등 부천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콘텐츠 뿐 아니라 문학도시로서의 자산도 상당하다.
특히 부천은 변영로, 정지용, 양귀자 등 다수의 문학인들이 작품 활동을 한 곳으로 곳곳에 문인들의 발자취가 남아있다.
수주(樹州) 변영로(1897∼1961년) 시인은 부천 고강동에서 태어났다.
3·1 운동 때 독립선언서를 영문으로 번역해 해외 전파한 변 시인은 수필 '명정(酩酊) 40년'으로 유명하며 시 '두만강 상류를 끼고 가며', '정계비'(定界碑), '논개' 등을 남겼다.
그는 아호를 부천의 옛 지명인 '수주'로 했다. 부천시는 그를 기리고자 중앙공원에 시비를 세웠고 고강동∼역곡동 수주대로엔 기념 동상을 만들었다. 수주문학상도 매년 시상하고 있다.
부천은 '한국 현대시의 아버지'라 불리는 정지용과도 인연이 있다.
가톨릭 신자인 정지용은 1943년부터 3년 동안 부천에 머물며 공소(본당보다 작은 천주교회 단위)만 있던 부천에 신부를 모셔와 부천 최초의 소사성당을 창립하는 데 앞장섰다.
그가 살았던 소사동 89-14에는 기념푯돌이 세워졌고 부천중앙공원과 소사본동 주민자치센터 앞에 시비가 있다.
한국아동문학가협의회 부회장을 지낸 목일신 작가는 1960년 부천으로 이사와 1986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살았다. 그의 작품 중 '자전거', '자장가','비눗방울', '참새' 등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범박동에는 그의 이름을 딴 일신초등학교와 일신중학교가 건립됐다.
인기 소설 '원미동 사람들' 작가 양귀자 역시 1980년대 소설의 배경인 부천 원미구 원미동에 살았다. 이 작품은 2003년 중학교 3학년 국어교과서에 수록돼 부천을 널리 알렸다.
특히 부천은 작품 '대지'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펄벅(Pearl S. Buck) 여사와 인연이 각별하다.
펄벅 여사는 1967년 부천 원미구 심곡동에 혼혈아와 고아 등을 위한 복지시설 '소사희망원'을 세워 이들을 돌봤다. 시는 이곳에 펄벅기념관을 세우고 매년 펄벅문학축제를 열어 그를 기리고 있다.
부천시 관계자는 "이러한 문학적 자산들을 바탕으로 유네스코 창의도시(문학도시) 가입 준비를 철저히 해 동아시아 최초의 문학 창의도시라는 명성을 얻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