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말 개통 이후 장애 700여건…인천교통공사, 안전요원 운영비 포함 51억 청구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지난해 7월 30일 개통한 인천지하철 2호선. 2량 1편성의 '꼬마열차'에도 불구 개통 6개월만에 이용 승객 수가 2000만명을 돌파, 기대 이상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승객 유치에는 합격점을 받은데 반해 안전운행은 여전히 불안한 채 개통초기 '고장철'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급기야 인천지하철 운영기관인 인천교통공사는 전동차의 잦은 장애 탓에 영업 손실을 입었다며 시공사(현대로템 컨소시엄)에 손실비용을 청구하고 나섰다.
청구액은 안전요원 운영비 50억6700만원, 영업운행 손실비용 3300만원 등 51억원이다. 교통공사는 2호선 운영시스템이 장애 없이 정상 운영됐다면 안전요원 운영비는 지출할 필요가 없었던 비용으로 추산하고 있다.
인천지하철 2호선은 무인제어시스템을 적용했기 때문에 애초에는 전동차 안에서 상시근무하는 안전요원을 배치할 계획이 없었다.
그러나 개통 이후 사고가 잇따르자 장애발생 때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용역회사를 통해 안전요원 90명을 채용해 현장에 투입했다. 공사는 이들을 개통 후 3개월만 배치하려고 했지만 2호선 장애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자 현재도 계속 전동차에 배치하고 있다.
그동안 발생한 운행 장애는 전동차와 신호시스템 간의 통신이 두절되는 '타임아웃'에 따른 비상제동과 운행중단, 제동 때 미끄러지면서 제 위치에 정차하지 못하는 '슬립 슬라이드', 전력공급 중단으로 인한 운행중지, 출입문 및 안전문(PSD) 오작동 등 700여건을 넘고 있다.
교통공사는 이러한 장애발생이 설계불량, 부실시공, 급가속 및 급감속 프로그램 오류 등에 의한 것으로 분석하고, 시공사가 손해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통공사는 당초 운전용 궤도와 병행으로 설치한 전력공급 레일인 제3궤조 절연커버 미시공, 선로전환기에 쌓인 눈을 녹이는 융설장치·장애인 안전발판 미설치 등을 문제삼아 시설보완비용까지 합쳐 115억5247만원으로 청구했다가 이들 시설이 구매계약에 포함되지 않아 청구액을 51억원으로 정정했다.
인천교통공사 관계자는 "시설보완비용이 청구금액에서 빠진 것은 도시철도본부가 무인시스템 등을 고려해 처음부터 이들 시설을 발주계획에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다만 나중에 2호선 개통 후 승객안전을 고려해 교통공사가 자체 예산을 들여 시설을 보완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도시철도본부가 시공사로부터 2호선 차량운행시스템을 일괄구매하면서 제3궤조 절연커버 미시공 등을 계약에 안 넣은 것이 옳은 판단이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인천지하철 2호선 손실비용은 건설 책임기관인 인천시 도시철도건설본부가 시공사로부터 징수해 교통공사에 납부하는 식이다. 하지만 부실시공 여부를 놓고 시비가 일 경우 시공사가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도 있어 교통공사가 요구한 손실비용을 받아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편 도시철도본부는 앞서 지난해 8월 시공사에 차량 6대 추가 납품도 요구한 상태다.
도시철도본부는 2호선 개통 이후 운행시간을 분석한 결과 시공사가 제시한 일주시간 99분(기점~종점 48분, 종점~기점 48분, 회차시간 1분30초×2)을 5.9분 넘긴 것으로 결론내고 차량 추가 납품을 요구했다.
발주 당시 도시철도본부는 차량 84대(표정속도 시속 32㎞ 기준)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으나, 시공사가 차량 성능을 표정속도 37.515㎞로 높여 일주시간을 99분으로 제시하고 74량을 납품하는 방안을 제시하자 이를 받아들였다.
도시철도본부는 애초 시공사가 제시한 일주시간에서 5.9분을 초과한 만큼 차량를 추가로 더 받아야 한다는 입장으로, 규정에 따라 한국상사중재원의 판정을 기다리고 있다.
인천지하철 2호선은 서구 검단오류역에서 인천시청역을 지나 남동구 운연역을 잇는 노선으로 총연장은 29.2㎞이다. 차량은 74량이 2량1편성으로 출퇴근시 3분, 평시 6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승차정원은 206명으로 1호선의 5분의 1 수준이지만 배차간격을 1호선 보다 단축한 덕분에 승객규모는 1호선 승객의 40%에 육박한다. 지난해 7월 30일 개통 이후 6개월 만에 이용 승객이 2000만명을 돌파했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