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CES 2017] QLED TV·자율주행·인공지능…주목받은 3가지 키워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8초

세계 최대 가전전사회 CES 50주년 행사 8일 폐막…전자산업 미래 기대감 보여주며 일정 정리

[라스베이거스(미국)=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QLED TV, 자율주행, 인공지능….' 5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시작된 'CES 2017'은 현지시각 8일 마무리된다.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라는 위상을 다시 한 번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전자·IT·자동차 업계의 융합이 한층 더 발전된 자리였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특히 전자업체들은 TV, 세탁기, 냉장고 등 전통적인 경쟁 품목은 물론이고, 인공지능(AI)·자율주행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또 다른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CES 2017] QLED TV·자율주행·인공지능…주목받은 3가지 키워드 삼성전자 모델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17'에서 기존 TV의 화질을 뛰어 넘는 차세대 TV 'QLED'를 소개하고 있다.
AD

◆삼성 QLED TV, 뜨거운 논쟁=삼성전자가 CES 2017을 통해 QLED TV를 내놓으면서 글로벌 TV 시장을 놓고 경쟁을 벌이는 업체들의 관심이 증폭됐다. 삼성전자는 기존 프리미엄 라인업인 SUHD TV라는 브랜드를 앞으로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QLED TV를 TV의 새로운 역사를 쓰는 하나의 카테고리로 삼겠다는 구상을 밝힌 셈이다. 삼성전자는 화질을 통한 승부는 사실상 끝났다면서 소비자들의 고민과 불만을 해소하는 쪽으로 TV 경쟁의 초점이 옮겨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QLED TV를 통해 화질 측면에서는 더 이상 발전하기 어려울 정도의 궁극의 화질을 선보였다는 얘기다.


LG전자는 OLED TV W라는 신제품을 내놓으면서 맞불을 놓았다. LG전자는 자신의 브랜드를 더욱 강화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OLED TV W는 벽지를 연상하게 할 정도로 얇은 굵기로 관심을 모았다. LG 시그니처 OLED TV W7 시리즈는 패널 두께가 2.57㎜에 불과할 정도다.


TV 제조 업체들이 화질을 둘러싼 경쟁을 넘어 경쟁의 포인트를 다양화 했다는 점도 CES 2017에서 눈여겨볼 대목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TV 업체들이 차별화에 신경을 쓰고 있다"면서 "TV 선을 보이지 않게 처리하는 등 인테리어 측면에서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은 눈여겨볼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CES 2017] QLED TV·자율주행·인공지능…주목받은 3가지 키워드 3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이 아이오닉 일렉트릭 자율주행차를 시승하고 있는 모습

◆자율주행, 전자·자동차 공통 관심사=CES 2017에서 흥미로웠던 부분은 전자업체와 자동차 업체 모두 '자율주행'을 주제로 체험장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CES에 참가한 언론인, 업계 관계자, 관람객 등은 자율주행 체험장 앞에 길게 줄을 서서 대기하는 모습이 이어졌다.


자율주행은 자동차 업계나 전자 업계의 공통분모라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인수를 발표했던 전장기업 하만과 함께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하는 모습을 보였다. 삼성전자의 기술력과 하만의 전장부문 전문성을 접목시켜나가겠다는 구상이다.


현대자동차는 정의선 부회장이 직접 자율주행 시대의 청사진을 전해 관심을 모았다. 정의선 부회장은 "우리는 지금 기술 융합과 초연결성으로 구현될 새로운 시대의 출발점에 서있다"면서 "현대자동차는 친환경적이고, 주변의 모든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초연결성을 지닌 미래 모빌리티 개발에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벤츠, 폭스바겐, 도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도 CES에서 자신들의 기술력을 과시했다. 이들 업체들이 내놓은 자율주행 컨셉트카는 관람객들의 단골 기념사진 장소로 이용됐다.


[CES 2017] QLED TV·자율주행·인공지능…주목받은 3가지 키워드 LG전자가 4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호텔에서 개최한 글로벌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미국법인 마케팅총괄 데이비드 반더월 부사장이 로봇 제품들을 최초로 공개했다.

◆한발 더 다가 선 인공지능 시대=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CES 2017에서 관심의 초점이 된 분야는 결국 인공지능(AI)과 맞물려 있다. AI를 둘러싼 과학적인 접근을 넘어 일상생활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제품으로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가 관심이었다.


LG전자 전시장에서 가장 관심을 받은 제품은 가정용 허브 로봇이었다. 무선인터넷(Wi-Fi)으로 TV, 냉장고, 에어컨 등 가전제품은 물론이고 조명과 보안시스템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로봇이다.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은 "IoT나 스마트 홈과 관련해 로봇 안내 도우미(로봇)와 청소로봇은 당장 제품으로 보여드릴 수 있는 부분이다. 다음 단계는 잔디깎기 로봇"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AI 중장기 발전을 위한 지원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IoT, 가상현실(VR), AI 분야의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1억5000만 달러에 이르는 삼성 넥스트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IFA 때도 그랬지만 이번 CES 때도 많은 업체들이 로봇 산업에 대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가전과 관련해서도 단순한 연결성을 넘어서는 진화를 준비하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