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베이징=김혜원 특파원] "중앙은행이 위안화 환율 움직임에 과도하게 개입해서는 안 된다. 현재 위안화 가치가 더 떨어져야 한다면 그대로 둬야 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위안화 가치 절하를 막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데 대해 일부 경제학자들이 경계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대표적인 원로 경제학자이자 환율 전문가인 위융딩 중국 사회과학원 명예교수의 이 같은 주장에 주닝 칭화대학교 금융학 교수가 힘을 보탰다.
'예고된 버블'의 저자인 주 교수는 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의 인터뷰에서 "외환보유액을 사용해 위안화 가치 하락을 막는 인민은행의 전략은 지속 불가능하다"며 환율 정책의 방향성을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시장이 환율을 결정하도록 내버려두면 중국은 외환보유고 감소를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장지향적으로 (환율을) 운용한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 싱크탱크인 국가정보센터의 주바오량 경제예측부 부주임도 블룸버그 통신을 통해 "외환 당국이 위안화 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지는 것을 내버려둬야 한다"며 의견을 함께 했다.
이들 경제학자의 공통된 견해는 '외환보유고=국력'이라는 공감대에서 비롯됐다. 위 교수는 최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외환보유고는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국력을 지켜 낼 완충제와 같다"라며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외환보유액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주 교수는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고점에서 10% 정도 떨어진 반면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25% 가까이 줄었다"고 지적했다. 인민은행은 최근 2년 간 위안화 환율 방어를 위해 1조달러에 가까운 외환보유액을 사용하면서 보유고 3조달러 붕괴를 기정사실화한 상황이다.
이들은 올해 중국 경제 발목을 잡는 최대 리스크로 '자본 유출'을 꼽았다. 주 교수는 "중국은 올해 내내 자본 유출의 도전에 직면할 것"이라며 "위안화 가치 절하와 자본 유출 압력은 금융시장 안정과 경제 구조 개혁이라는 정부의 노력에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자본 유출 통제를 강화하려는 당국의 움직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아래에서 외국인 투자자로부터 외면을 받고 무역 마찰을 야기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