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오후 한詩] 물의 기분/최문자

시계아이콘00분 51초 소요

물을 삼킬 때
목에 걸리는 알몸의 실체
물의 기분을 안다
단순히 흘러가는 게 아니라
나의 이야기 속을 걸어간다
시의 맨 처음으로 가는 느낌
작고 부드러운 터치
이건 이빨이 아니지
녹을 것 다 녹이고
녹지 않겠다는 것까지 다 녹이고
눈을 감고
누구에게 실컷 쏟아지려는 마음


우리의 밑그림이 마르고 있었다
"잊을 거야, 잊을 거야" 하면서
이별은 단호하게 시작된다
세차게 차 버릴 수 없는 발목으로
어딘가를 헤엄쳐 간다

비가 내리는 거리에서
나는 상처를 가리고
바지를 세 단씩 접으면서
그래도 당신은 새털구름처럼 웃었다


매번 물이 있어서
당신은 그토록 우리를 지우는 사람
우린 그런 물의 기분

[오후 한詩] 물의 기분/최문자
AD


■ "물의 기분", 그게 뭘까? 시인이 적어 둔 바에 따르자면, "시의 맨 처음으로 가는 느낌"이거나, "작고 부드러운 터치"이고, "녹지 않겠다는 것까지 다 녹이"는 것이며, "눈을 감고" "누구에게 실컷 쏟아지려는 마음"… 그런 거다. 그런데 그런 "느낌"이란, 그런 "터치"란, 그런 "마음"이란 대체 어떤 걸까? "시의 맨 처음으로 가는 느낌"을 통상적으로 번안하자면 '기원을 향한 열망'이라거나 '훼손되기 이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간절함'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긴 하지만 그런 번안이 애초의 저 "시의 맨 처음으로 가는 느낌"을 고스란히 전해 줄 수 있을까? 그건 아무래도 불가능할 것이다. 오로지 "시의 맨 처음으로 가는 느낌"이라고 적어야만 전해지는 어떤 느낌이라는 게 있다. 그게 도대체 무엇인지는 설명할 수 없지만 다만 그 단어들로써만, 그 단어들의 조합으로써만 얻을 수 있고 펼쳐 보일 수 있는 느낌과 마음이 있다. 시인은 최선을 다해 그 느낌과 마음을 적는 사람이고 독자는 그에 동참하려는 사람이다. 시를 쓰고 읽는다는 건 "누구에게 실컷 쏟아지려는 마음"이고 그런 마음을 문득 그러나 한없이 헤아려 보려는 것이다. 서로 "물의 기분"이 되어 말이다.


채상우 시인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