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 분당 D-1…3대 쟁점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與 분당 D-1…3대 쟁점은?
AD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한국 보수정당 역사상 첫 분당이라는 정치적 실험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신당 출범 성공 여부에 따라 내년 대선의 구도가 요동 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정치권은 ▲제3당 지위 확보 여부 ▲정강정책 ▲새누리 친박(친박근혜)의 행보 등 세 가지에 초점을 두고 분당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우선 가장 큰 관심은 신당의 규모다. 당초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 등 비주류 의원들이 분당을 결의한 21일에는 탈당의사를 밝힌 의원이 35명이었다. 하지만 강석호ㆍ심재철 의원 등은 1차 탈당에서 빠지기로 했고, 이후에도 몇몇 의원들이 지역 민심 등을 감안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1차 탈당 규모를 30여석 안팎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개혁보수신당'은 27일 탈당 뒤 곧바로 원내 교섭단체 등록을 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라 원내 4당이 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으로 보인다. 여기에 비주류의 추가 합류가 이뤄질 경우 38석인 국민의당을 넘어 원내 제3당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관건은 여권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합류 여부다. 정치권에서는 반 총장의 경우 새누리당 직행보다는 '개혁보수신당' 합류가 더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반 총장이 신당에 합류할 경우 새누리당내 반 총장을 지지하고 있는 의원들 또한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개혁보수신당'의 또 하나의 관문은 정강정책이다. 신당 핵심 중 한명인 유 의원은 '안보는 보수, 경제는 진보'로 노선을 정했다. 유 의원은 26일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윤준호입니다'에 출연해 정강정책과 관련 "복지수준을 올리기 위해 법인세율 인상도 결코 예외는 아니다"라며 "법인세율을 인상해도 그것만으로 복지재원이 다 마련되는 것은 아니다. 소득세, 부가가치세 등 세금 전반을 봐야 하는데 새누리당이 법인세는 절대 안 된다며 성역처럼 해왔기 때문에 유독 쟁점으로 보였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유 의원의 이 같은 개혁 노선이 보수진영 내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당의 정강ㆍ정책 작업을 주도하고 있는 유 의원이 앞장서서 법인세 인상, 사회적경제기본법 처리 등 경제 현안에서 '좌클릭'을 예고하자, 심재철 의원 등 일부는 정책 노선 이견으로 최종 결단을 앞두고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 의원은 일단 "신당 구성원들이 동의해주신다면 치열한 내부토론을 거쳐 정강정책으로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남은 새누리당내 친박은 추가 이탈을 막기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비롯한 원외 당협위원장 35명은 비주류 측을 향해 성명서를 발표하고 "탈당은 명분 없는 분열"이라며 "(탈당파 중) 일부 의원은 대권 욕심과 향후 대선 과정에서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 분열에 앞장서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고 비판했다.


 오는 29일 전국위원회를 통해 정식으로 임명 받는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민들이 (친박 청산을) 요구하면 수행할 것이냐"는 질문에 "당연하다. 내가 해야 될 중요한 일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서 전 대표 등과 사적으로 친한데 나가라고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국민들이 요구하는 건데 왜 그걸 못하겠느냐, 당연하다"고 대답해 친박 핵심 인사에 대한 출당도 가능함을 암시했다.


한편 친박 중진인 원유철 의원은 당내 40∼50대 의원들과 함께 '새로운 보수를 위한 4050클럽'을 29일 출범 시키고 '친민생'을 표방하면서 신당과의 보수 주도권 경쟁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