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실버손님 태운 日 우버, 매출 '오라이'

시계아이콘01분 5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인구 5900여명뿐인 작은 시골 마을 공략…고령화시대 대중교통 열악한 나라 수출 발판

실버손님 태운 日 우버, 매출 '오라이' 일본 교토(京都)부 북부 단고(丹後)의 한 골목에서 우버 차량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사진=블룸버그뉴스).
AD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 우버테크놀로지스가 일본 교토(京都)부 북부 단고(丹後)에서 전례 없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인구 5900여명에 불과한 단고에서 우버 승객의 평균 나이는 70세다. 더 특이한 것은 이들 나이 많은 고객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들은 스마트폰이 있는 이웃에게 부탁해 차량을 호출한다. 우버에 어울리지 않는 시장인 셈이다.


고도(古都) 교토에서 버스로 3시간 걸리는 단고는 한때 기모노 옷감을 공급하는 곳이었다. 그러나 지난 수십년 사이 인구가 줄어 지금은 대개 고령자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변했다. 버스 노선은 하나뿐이다. 그것도 험한 산중을 휘감고 도는 노선이다.

현지 주민들은 장을 보거나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것조차 어렵다. 이처럼 조용한 오지에서 우버가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이다.


일본에서 우버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으로 차량을 호출할 수 있는 곳은 단고와 홋카이도(北海道)의 나카톤베쓰(中頓別)밖에 없다. 일본의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는 규모가 너무 작아 대중교통 수단이 다니지 않는 곳에서만 허용되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허가 받은 택시기사만 승객을 태울 수 있다. 그러니 세계 최대 택시 시장인 도쿄(東京)에도 우버가 설 자리는 없다.


그동안 우버의 행보는 놀라움 그 자체였다. 우버는 200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범했다. 우버의 트래비스 캘러닉 최고경영자(CEO)는 이후 택시회사, 경쟁업체, 각국 정부와 치른 싸움에서 물러서는 법이 없었다.


그러던 중 중국 진출 2년만인 지난 8월 20억달러(약 2조2670억원) 이상이나 손해 본 채 현지 경쟁사 디디추싱(滴滴出行)에 우버중국법인을 넘겨야 했다.


실버손님 태운 日 우버, 매출 '오라이' 우버일본법인의 다카하시 마사미(高橋正巳) 사장(사진=블룸버그뉴스).

우버일본법인의 다카하시 마사미(高橋正巳) 사장에게는 택시회사의 주요 무대인 거대 도시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성장을 모색할 재량권이 있다. 성공할 경우 단고는 우버가 다른 지역으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규모 1조7300억엔(약 18조7600억원)에 이르는 일본의 택시시장을 넘볼 수 있다는 말이다.


도쿄 소재 시장조사업체 카노라마의 미야오 겐(宮尾健) 애널리스트는 "인구감소 지역에서 교통수단이야말로 심각한 문제"라며 "우버가 벽지 주민에게 도움이 된다면 장기적으로 규제는 대폭 느슨해져 도쿄 같은 대도시로도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단고에서는 우버 이용이 하루 최고 24건에 이른다.


단고와 나카톤베쓰의 사업이 활성화할 경우 우버는 운송서비스 규제가 없는 다른 500여개 지역으로 눈 돌릴 수 있다. 다카하시 사장은 최근 블룸버그통신과 가진 회견에서 "소규모 지방자치단체들로부터 서비스 가능 여부를 묻는 전화가 쇄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오지 공략 전술이 새로운 영업모델로 떠오를 것이라고 본다. 세계 곳곳에서 고령화 사회가 늘고 있는 요즘 일본 오지의 차량 공유 사업을 대중교통 시스템이 열악한 다른 나라들로 수출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단고의 주민들에게 차량 공유는 편리함을 넘어 없어서는 안 될 서비스가 됐다. 주민들은 우버 서비스를 병원에 갈 때 주로 이용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공유경제가 혁신을 부추길 수 있는 한 방법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해왔다. 그러나 택시사업을 규제하는 도로운송법이 개정될 기미는 전혀 없다.


한편 일본에서 소형 드론을 낙도나 산간벽지 택배에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국토교통성은 조종자나 감시자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난 곳에서도 드론 비행이 가능하도록 오는 2018년까지 새로운 기준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저출산ㆍ고령화가 심화하고 있는 농ㆍ산ㆍ어촌에서 상점 같은 편의시설이 줄어 고령자가 장보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낙도 등 인구 과소지역에서 드론 택배가 실현되면 인터넷으로 구매한 물품이 빠르게 배달돼 멀리까지 장보러 나갈 필요는 없다. 재해 같은 긴급 상황에서 의약품이나 식료품 등 지원물자를 드론으로 받을 수도 있다.


택배업자에게는 비용절감이라는 이득이 생긴다. 오지에서는 물품 하나를 배달하기까지 트럭이 달리는 거리가 도시의 6배에 이른다는 통계도 있다.


드론 택배 서비스는 인구가 적은 낙도나 산간지역에 한정돼 안전성 확보 및 사생활 침해 문제를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안전성을 확보하려면 충돌회피 센서나 360도 비출 수 있는 카메라 탑재가 필수적이다. 드론을 택배에 활용하려면 사생활 보호 수단도 강구돼야 한다. 민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드론 전용 발착장을 만들어 현지 주민이 배달 물건을 직접 찾아가는 방식으로 운용될 듯하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