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문일답]"서울대공원에서 AI 감염 사상 처음, 경로 파악 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48초

서울시, 조류독감 방역 강화 나서…시민 안전 수칙 발표

[일문일답]"서울대공원에서 AI 감염 사상 처음, 경로 파악 중"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 동물원에 AI 예방을 위한 전시 중지 팻말이 붙어 있다. 서울대공원은 지난 17일 동물원 휴장을 결정했다. (사진=서울시 제공)
AD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서울시가 조류독감(AI) 방역 강화에 나서는 한편 시민 안전수칙을 19일 발표했다.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도 지난 16일과 17일 AI 감염이 의심되는 황새, 원앙 등 일부 조류가 폐사했기 때문이다. 아래는 나백주 시 시민건강국장과 이기섭 서울대공원 동물원장과의 일문일답 내용이다.

-AI 몇 번째인가.
▲(나백주 시 시민건강국장) 서울대공원에서는 처음이다.


-H5양성판정이라고 했는데 N6는 나오지 않은 건가.
▲(나 국장) 그건 정밀검사 결과 나와야 안다. 중간검사에선 H5까지만 나온다.

-언제쯤 검사 결과가 나오는지.
▲(나 국장) 3일 정도 후에 결과 나온다.


-결과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나 국장) 고병원 H5가 나왔는데 특별히 달라질 것은 없을 것으로 본다. 결과 나오면 상의해서 취할 조치 있으면 하겠다.


-서울대공원 동물들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인데 폐사가 가능한가.
▲(이기섭 서울대공원 동물원장) 천연기념물은 문화재청과 허가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고, 멸종위기종은 환경부와 협의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이 원장) 멸종위기종에 대한 살처분을 가금류와 같은 기준으로 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본다. 천연기념물은 문화재청에서 그들에 대한 사체 내지 살처분에 대해서도 허가를 받아야 하는 부분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동물원에 멸종위기종들이 많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보호차원에서 양성으로 판단될 경우에 그대로 살처분을 검토하고, 음성일 상황에서는 격리·보호조치 하는 내용 협의하게 된다.


-AI 감염경로 추정되는 게 어떤 건지.
▲(이 원장) AI 감염 추정 경로에 대해 현재까지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원앙 5마리에서 H5가 양성으로 나온 것으로 보면 주변 청계저수지 원앙과 어떤 접촉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추정도 할 수 있지만 역학조사가 이뤄져야 정확히 알 수 있어 현재로는 알 수 없다. 청계저수지에는 원앙 70~80마리와 다른 오리들이 서식하고 있다.


▲(나 국장) 감염경로에 대해서는 역학조사 시행되는 중이다.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추측과 관련된 부분은 아닐 수도 있다. 다양한 경로로 역학조사 하고 있으니 그 부분은 역학 조사 나온 걸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황새랑 원앙 외에도 감염 가능성 있는지.
▲(이 원장) 다른 조류에 대한 전파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황새마을에 현재 확인된 황새와 원앙 이외에 다른 14종이 나눠져서 사육되고 있다. 분변검사 통해 양성여부 판단하고자 한다. 지금 상황으로 좀 더 많은 숫자가 양성일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예전에 AI 감염된 적 있는지.
▲(이 원장) 서울대공원 개장한 이래 AI 발생은 처음이다. 인근에서 발생한 경우는 있었지만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발생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AI 관련해 2주에 한 번씩 분변 채취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왔지만 지금까지 AI 관련 바이러스는 확인된 바 없다.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이랑 살처분 하는 것도 처음인가.
▲(이 원장) 그렇다. 이번에 처분하게 되면 처음이다.


-17일 동물원 임시휴장 이후 지금도 계속하고 있나. 한다면 언제까지 휴장하나.
▲(이 원장) 17일 오후 휴장 결정 후 현재까지 휴장 상태 유지되고 있다. AI바이러스에 대한 양성반응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휴장 계속된다. 이후에도 한 달 정도 추이 두고 봐서 완전히 없다고 판단될 때 개장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 휴장인가.
▲(이 원장) 지금 현재 동물원 전체와 식물원 포함하고, 테마 가든, 어린이 동물원, 삼림욕장 포함해서 전 지역에 대한 휴장을 말한다.


-주변 저수지 원앙들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무슨 의미인가.
▲(이 원장) 원앙들이 칸 안에서 사육되지만 케이지이다 보니 완전히 밀폐됐다고 볼 수 없다. 공기 순환 그리고 햇빛 받기 위해서 케이지 형태로 되어 있어 새들이 날아다니는 것이나 배설에서 100%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주변에 있는 초지 등에도 평상시에도 야생 조류들이 수시로 들어왔다 나갔다 하기 때문에 그런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